오전장 특징주★(코스피)
특징종목 이슈요약
씨에스윈드
(112610) 美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 관련 불확실성 축소 및 해상풍력용 타워 비중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미국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예상을 뒤집고 상원 다수당으로 확정됨에 따라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 관련 불확실성이 축소되었다고 분석. 특히, 동사는 2021년 Vestas의 미국 타워 자회사를 인수했으며, 해당 법인은 4GW 규모의 육상풍력 타워를 생산할 수 있고, IRA 법안에서 명시된 미국 내에서 타워 생산시 지급되는보조금은 와트당 3센트로 가동률 100%를 감안하면 최대 연간 1.2억달러의 보조금 수령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미국 법인의 매출성장과 해상풍력용 타워 비중 확대로 중장기 외형 및 수익성 개선 방향성이 명확하다고 밝힘. 특히, 전일 Siemens-Gamesa와 2024년 5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베트남, 포르투갈 법인에서 해상풍력 타워 공급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금액보다는 해상풍력 타워 물량 확보를 위한 계약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8,000원 -> 90,000원[상향]
HJ중공업
(097230) 481.54억원 규모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 수주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한국전력공사와 481.5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82%) 규모 공급계약(당진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북당진~신탕정)) 체결(계약기간:2017-02-10~2023-06-30) 공시.
현대홈쇼핑
(057050) 현대렌탈케어 지분 일부 매각 검토 소식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렌탈사업 회사인 현대렌탈케어 지분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짐. 유통업계에 따르면, 동사는 현대렌탈케어 지분 매각을 위해 엠캐피탈 측과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분규모와 금액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음.
▷또한, 업계에서는 지분매각을 검토하는 것이 유동성확보를 위한 선제조치로 해석하고 있으며, 경 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당장의 유동성 위기가 없더라도 현금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는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주)현대렌탈케어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투자 유치를 통한 자본 확대, 일부 지분 매각을 통한 전략적 제휴, 경영권 매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검토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힘.
롯데정밀화학
(004000) 사우디 현지 정밀화학 생산거점 구축 관련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사우디 빈살만 왕세자가 이날 방한한 가운데,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사우디 투자 포럼 행사에서 사우디 현지 정밀화학 생산거점 구축 관련 사우디 투자부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위해 지난 10일 칼리드 알 팔리 사우디 투자부 장관과 김교현 롯데 화학군 부회장, 김용석 동사 대표가 사전 회동을 가졌으며, 정밀화학 제품뿐 아니라 향후 롯데 화학군의 다른 고부가 제품으로 사업 협 력을 확대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효성첨단소재
(298050) 탄소섬유 생산라인 증설 및 중국법인 설립 발표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778.00억원(자기자본대비 10.78%) 규모 신규시설(전주공장 탄소섬유 생산라인 증설) 투자 결정 공시. 아울러 중국탄소섬유 시장 M/S 확대를 위한 신규법인 설립 목적으로 Hyosung Carbon Materials (Jiangsu) Co., Ltd. 출자증권을 383.49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5-02-28) 공시.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향후 신성장 동력으로 슈퍼섬유(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투자를 추진중이며, 상대적으로 성장성과 진입장벽이 더 높은 탄소섬유 투자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탄소섬유 영업가치는 최소1조원(23년 실적 기준)으로 판단되며 이익 기여도 확대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아이에스동서
(010780)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조원(-9.5% y-y), 영업이익은 3,087억원(-12.8%, y-y)으로 추정. 직전추정치 대비 대폭 하향한 이유는 주요 프로젝트인 경산 중산이 부동산 경기로 인해 지연될 가능성을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경산 중산 프로젝트의 2024년 분양 가능 성과 추가 원가율 상향, 미분양으로 인한 일부 손실 등을 감안해 12개월 이동평균 EBITDA를 24% 하향 조정하고, 건설부문에 적용하는 EV/EBITDA 배수를 3.5배(기존 5.0배)로 낮추고, 경산 중산의 토지가치를 50% 할인해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0,000원 -> 42,000원[하향]
롯데케미칼/롯데지주/롯데렌탈
신용등급 전망 하향 소식 등에 하락
▷나이스신용평가는 전일 롯데케미칼과 롯데지주, 롯데렌탈, 롯데캐피탈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조정했음. 나신평은 롯데케미칼에 대해 "절대적인 재무 지표는 우수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악화한 영업환경 및 자금 소요 등을 고려하면 차입금 부담을 완화하는 데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현재 신용등급(AA+)에 부합하는 매우 우수한 수준의 사업 및 재무 지표를 유지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힘. 이어 "롯데지주의 핵심 자회사인 롯데케미칼의 신용도가 하락할 경우 롯데지주의 계열통합 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롯데케미칼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추가 유상증자 진행 등으로 롯데지주 자체의재무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한편, 롯데케미칼은 전일 장 마감 후 풍문 또는 보도(롯데케미칼, 유상증자 추진 '최대 2조')에 대한 해명으로 자금조달에 관한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중이나, 구체적인 사항은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으며,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됐음.
[종목]: 롯데케미칼, 롯데지주, 롯데렌탈
특징종목 이슈요약
씨에스윈드
(112610) 美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 관련 불확실성 축소 및 해상풍력용 타워 비중 확대 기대감 등에 상승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미국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예상을 뒤집고 상원 다수당으로 확정됨에 따라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IRA) 관련 불확실성이 축소되었다고 분석. 특히, 동사는 2021년 Vestas의 미국 타워 자회사를 인수했으며, 해당 법인은 4GW 규모의 육상풍력 타워를 생산할 수 있고, IRA 법안에서 명시된 미국 내에서 타워 생산시 지급되는보조금은 와트당 3센트로 가동률 100%를 감안하면 최대 연간 1.2억달러의 보조금 수령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미국 법인의 매출성장과 해상풍력용 타워 비중 확대로 중장기 외형 및 수익성 개선 방향성이 명확하다고 밝힘. 특히, 전일 Siemens-Gamesa와 2024년 5월부터 2030년 12월까지 베트남, 포르투갈 법인에서 해상풍력 타워 공급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금액보다는 해상풍력 타워 물량 확보를 위한 계약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8,000원 -> 90,000원[상향]
HJ중공업
(097230) 481.54억원 규모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 수주에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한국전력공사와 481.54억원(최근 매출액대비 2.82%) 규모 공급계약(당진지역 전기공급시설 전력구 공사(북당진~신탕정)) 체결(계약기간:2017-02-10~2023-06-30) 공시.
현대홈쇼핑
(057050) 현대렌탈케어 지분 일부 매각 검토 소식에 상승
▷전일 언론에 따르면, 동사가 렌탈사업 회사인 현대렌탈케어 지분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짐. 유통업계에 따르면, 동사는 현대렌탈케어 지분 매각을 위해 엠캐피탈 측과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지분규모와 금액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음.
▷또한, 업계에서는 지분매각을 검토하는 것이 유동성확보를 위한 선제조치로 해석하고 있으며, 경 영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당장의 유동성 위기가 없더라도 현금을 미리 확보하는 것이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이와 관련 동사는 조회공시 답변을 통해 (주)현대렌탈케어의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투자 유치를 통한 자본 확대, 일부 지분 매각을 통한 전략적 제휴, 경영권 매각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을 검토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 없다고 밝힘.
롯데정밀화학
(004000) 사우디 현지 정밀화학 생산거점 구축 관련 MOU 체결 소식에 소폭 상승
▷사우디 빈살만 왕세자가 이날 방한한 가운데, 동사는 언론을 통해 사우디 투자 포럼 행사에서 사우디 현지 정밀화학 생산거점 구축 관련 사우디 투자부와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이번 협약을위해 지난 10일 칼리드 알 팔리 사우디 투자부 장관과 김교현 롯데 화학군 부회장, 김용석 동사 대표가 사전 회동을 가졌으며, 정밀화학 제품뿐 아니라 향후 롯데 화학군의 다른 고부가 제품으로 사업 협 력을 확대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짐.
효성첨단소재
(298050) 탄소섬유 생산라인 증설 및 중국법인 설립 발표 등에 소폭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778.00억원(자기자본대비 10.78%) 규모 신규시설(전주공장 탄소섬유 생산라인 증설) 투자 결정 공시. 아울러 중국탄소섬유 시장 M/S 확대를 위한 신규법인 설립 목적으로 Hyosung Carbon Materials (Jiangsu) Co., Ltd. 출자증권을 383.49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예정일:2025-02-28) 공시.
▷이와 관련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향후 신성장 동력으로 슈퍼섬유(탄소섬유 및 아라미드) 투자를 추진중이며, 상대적으로 성장성과 진입장벽이 더 높은 탄소섬유 투자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 아울러 탄소섬유 영업가치는 최소1조원(23년 실적 기준)으로 판단되며 이익 기여도 확대에 따른 밸류에이션 리레이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아이에스동서
(010780) 부동산 경기 악화에 따른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조원(-9.5% y-y), 영업이익은 3,087억원(-12.8%, y-y)으로 추정. 직전추정치 대비 대폭 하향한 이유는 주요 프로젝트인 경산 중산이 부동산 경기로 인해 지연될 가능성을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밝힘.
▷아울러경산 중산 프로젝트의 2024년 분양 가능 성과 추가 원가율 상향, 미분양으로 인한 일부 손실 등을 감안해 12개월 이동평균 EBITDA를 24% 하향 조정하고, 건설부문에 적용하는 EV/EBITDA 배수를 3.5배(기존 5.0배)로 낮추고, 경산 중산의 토지가치를 50% 할인해 목표주가를 하향조정한다고 밝힘.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 70,000원 -> 42,000원[하향]
롯데케미칼/롯데지주/롯데렌탈
신용등급 전망 하향 소식 등에 하락
▷나이스신용평가는 전일 롯데케미칼과 롯데지주, 롯데렌탈, 롯데캐피탈의 장기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Negative)'으로 조정했음. 나신평은 롯데케미칼에 대해 "절대적인 재무 지표는 우수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악화한 영업환경 및 자금 소요 등을 고려하면 차입금 부담을 완화하는 데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며 "중장기적으로 현재 신용등급(AA+)에 부합하는 매우 우수한 수준의 사업 및 재무 지표를 유지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밝힘. 이어 "롯데지주의 핵심 자회사인 롯데케미칼의 신용도가 하락할 경우 롯데지주의 계열통합 신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롯데케미칼의 일진머티리얼즈 인수, 롯데바이오로직스의 추가 유상증자 진행 등으로 롯데지주 자체의재무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언급.
▷한편, 롯데케미칼은 전일 장 마감 후 풍문 또는 보도(롯데케미칼, 유상증자 추진 '최대 2조')에 대한 해명으로 자금조달에 관한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중이나, 구체적인 사항은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으며, 공매도 과열종목으로 지정됐음.
[종목]: 롯데케미칼, 롯데지주, 롯데렌탈
0
0
신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