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P모간은 29일 ‘코스피 5000 가능하다…조정은 추가 매수 기회’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12개월 내 코스피지수 전망치를 5000으로 상향 조정한다”며 “강세 시나리오에서 최대 6000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JP모간은 “최근 상승이 과도하지 않으냐는 의견이 있지만 한국은 아시아 최선호 시장으로 상승 여력이 여전히 크다”고 강조했다. 올 들어 코스피지수가 약 70% 뛰었지만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은 글로벌·아시아 평균보다 훨씬 낮다는 분석이다.
JP모간은 코스피지수 추가 상승을 위한 조건으로 3차 상법 개정 등 지배구조 개선 정책을 들었다. 믹소 다스 JP모간 아시아주식 전략가는 “한국 증시 개혁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정책 결정권자들이 새 지배구조 기준을 시행하는 데 진심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1.76% 오른 4081.15에 마감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글로벌 유동성이 완화되며 주식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증시의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또한 재평가될 수 있다. 1년 후 코스피지수 6000도 가능하다.”(JP모간)
“한국 증시 역사에서 정책 효과와 기업이익 증가가 동시에 나타나는 건 매우 이례적이다. 내년 지수 목표로 5000을 새로 제시한다.”(KB증권)
코스피지수가 4000선을 돌파하자 국내외 증권사들이 한국 증시의 ‘근본적 재평가’ 가능성을 강조하며 전망치를 잇따라 상향하고 있다. 머지 않아 상법 개정 등에 따른 주주가치 확대, 외국인 자금 추가 유입, 밸류에이션 상승으로 이어지는 구조적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증권사들은 이 같은 흐름에 따라 반도체 외에 지주·금융 등 주주환원 관련주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JP모간은 29일 보고서를 통해 “코스피지수가 최근 급등했지만 지배구조 관련 디스카운트(할인)가 해소되고 있는 점은 아직 주가에 반영되지 않았다”며 “한국 증시의 상승 여력이 여전히 큰 이유”라고 분석했다. 지금까지는 메모리 반도체 랠리에 의존하며 4000을 돌파했지만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확대 효과라는 ‘뒷바람’(tailwind)이 남아있다는 얘기다.
JP모간은 “한국 증시는 그동안 대주주와 소액주주 간 이해관계 불일치 때문에 구조적 문제를 겪었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일부 기업에서 과도한 현금을 보유하며 주주환원율을 낮게 유지하거나 중복상장 또는 과도한 설비투자에 나섰다는 것이다. 증시 개혁 정책에 따라 ‘새로운 기준’이 정립될 경우 이런 할인 요소가 해소되며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는 구조 개선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믹소 다스 JP모간 아시아주식 전략가는 “자사주 담보 교환사채(EB) 발행 사례를 제외하면 최근 들어 주주가치에 부정적인 기업 활동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며 “과도한 주식 발행도 올 들어 반전됐다”고 했다.
JP모간은 이 같은 정책 효과가 외국인 자금을 추가로 끌어들일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몇 달 간 지수가 급등하는 가운데서도 신흥국 펀드 외에 선진국 투자자들은 한국 시장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스 전략가는 “대부분 유형의 해외 투자자는 여전히 한국 비중이 낮은 상태”라며 외국인 자금의 추가 유입을 내다봤다.
JP모간에 따르면 코스피지수의 주가순이익비율(PER)은 13.2배,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34배에 그치고 있다. 글로벌 평균(21.4배, 3.65배)뿐 아니라 아시아 평균(16.1배, 2.15배)에 비해서도 여전히 저평가 된 수준이다. 유가증권시장 외국인 시가총액 비중은 전날 기준 34.58%로, 2019년 말(38.15%)에도 미치지 못한다.홍콩계 CLSA와 KB증권도 한국 증시의 근본적 재평가를 전망하고 나섰다. CLSA는 “연말을 앞두고 한국 정부 관계자들이 배당소득세율 인하를 시사하고 있다”며 고배당 기업을 중심으로 투자 매력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관은 “개인과 외국인 모두 추가 유입 가능성이 충분해 코스피지수의 추가 리레이팅(재평가)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KB증권은 국내 증권사로는 최초로 코스피지수 목표치 5000을 제시했다. 한국 증시 역사에서 순이익과 정책에 따른 밸류에이션의 동반 상승은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일이란 설명이다.
이들 증권사는 유망 업종·종목으로 반도체와 고배당 기업을 들었다. JP모간은 메모리 반도체와 지주·금융·산업재(조선·방산·원전) 업종에 대해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한 데 비해 2차전지와 자동차는 ‘중립’, 메모리 외 테크주와 바이오 등은 ‘비중 축소’ 의견을 냈다.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차 등을 추천했다. CLSA는 “고배당 안정성과 주주환원 의지가 강한 기업을 주목한다”며 LG, 현대글로비스, 우리금융지주, HD한국조선해양 등을 수혜주로 제시했다.




기원합니다 ㅎㅎ
이제 4천 진입하니 차익실현 매물 나올까봐 개미들 꼬시느라 애쓰는거같음요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