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에 사서 뉴스에 팔아라 진리인 듯 한데 기사의 핵심을 잘 파악해야 함.
KBS 다큐 "주가조작 세력 '기자에 1000만 원 준 적 있다' 폭로"
'쫀칭'이 된 기자들..."기사 나간 다음 개미 흘리고 그때 판다"
KBS 시사 다큐멘터리 ' 더 보다' 작전 세력이 된 기자들 다뤄
KBS 시사 다큐멘터리 '더 보다'에서 기자 선행 매매 사건을 다루면서 사실상 기자들이 '주가조작' 세력의 일환이 되는 과정을 포착했다.
지난 5일 공개된 '더 보다' 76회 <개미 홀리기 - 작전 세력이 된 기자들> 편에서는 기자들이 소형 특징주 기사를 쓰면서 수억 원대의 이익을 올린 사례와 함께, 기자들이 호재성 기사를 쓰면서 해당 회사의 주식을 받아 이익을 얻는 수법 등을 취재했다. 이 다큐멘터리에는 주가조작 혐의로 기소된 한 관계자가 나와 특징주 기사를 써준 기자에 1000만 원 씩 준 적이 있다는 폭로도 등장한다.
앞서 지난 7월 전현직 기자 20여 명이 특정 종목을 사들인 후 호재성 기사를 작성하고 팔아 수익을 얻은 '선행매매'로 금융 당국 수사선상에 오른 사실이 보도됐다. 선행매매를 한 기자들은 소형주는 사측 보유 물량이 많고 유통 주식 수가 적어 비교적 쉽게 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점을 노렸다. 기자들은 더 큰 이익을 얻기 위해 미리 사둔 종목을 '특징 주' 기사로 썼다. 소형주일수록 정보가 없어 특징주로 다뤄지면 가격이 쉽게 올랐다. 기자 한 명당 최소 수억 원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건은 KBS의 단독보도 등으로 다뤄졌다.
[관련 기사: '기사 쓰고 주식 거래' 수사받는 기자들...재발 막자]
KBS는 해당 다큐멘터리에서 선행매매에 연루된 기자들이 대부분 경제지 출신이라고 전하며 이른바 메이저 언론사도 있다고 전했다. 한 기자는 모 지역 언론사로 옮겼으나 최근 퇴사를 했고 또 다른 기자 역시 더 규모가 작은 언론사로 옮긴 이후 퇴사했다고 전했다.
이 다큐멘터리에 출연한 김아무개 소형주 M&A 컨설턴트는 “소형주를 가지고 있는 경영자들이 기사를 써서 준다. 실제로 취재로 하겠다는 하는 기자는 10명 중 1~2명 정도다”라고 말했다. 김 컨설턴트의 말에 따르면 기자가 호재성 기사를 쓰고 그 대가로 상장사 주식을 받는 형태라고 전했다. 그는 “기자가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면 더 자극적인 표현을 쓸 수밖에 없다”라며 “그런 식으로 꼬신다”라고 말했다. 호재성 기사가 나오면 주가가 오를 확률이 높으니, 기자에게 싼 가격에 주식 매수 기회를 준다는 것이다. 다큐멘터리는 “만약 기자가 이런 기회를 받아들인다면, 기자도 작전 세력에 일환이 되는 셈”이라 지적했다.
KBS 해당 다큐에서는 주가조작 세력과 함께 움직인 기자들도 있느냐는 물음에 언론사와 기자의 이름이 가려져 등장하기도 했다. 이 같은 기자를 '쫀칭'이라 부른다고도 했다. '쫀칭'이란 작전 세력에 동참하는 개인투자자를 말한다. 기사가 나간 후 '개미'들이 홀려 주식을 사면, 그들은 그때 주식을 파는 수법으로 수익을 얻는다.
제작진은 시세 조정 등 혐의로 지난해 기소돼 재판 중인 이아무개 씨 일당의 내부 문건을 입수했다. 해당 문건을 보면 이들은 특정 홍보 회사 도움을 받아 기사를 작성해왔다. 다만 홍보대행사는 문제의 상장사를 홍보한 것은 맞지만, 기자 전체에 보도자료를 뿌렸고 기자들이 선택해 기사를 쓴 것 뿐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KBS 제작진이 만난, 주가조작 혐의로 기소된 이아무개씨는 특징주 기사가 중요하다면서 특징주 기사를 쓴 기자에게 수천만 원의 금품을 제공한 사실이 있다고 폭로했다. 이 씨는 “주가가 5% 이상 올라가면 특징주 기사로 쓸 수 있고, 특징주 기사로 쓰면 HTS(주식매매전용프로그램)으로 주식하는 사람들은 다 볼 수 있다. 그렇게 눈에 띄고 주가가 오른다”며 “OOO 기자에게 기사를 부탁하고 1000만 원씩 준 적이 있다”고 말한다. 이 씨는 “호텔에서 기자를 만나 돈을 주고 뷔페 식사를 사주기도 했다”며 “홍보회사가 각 언론사와 계약을 하면서 기사를 잘 써주는 기자들한테 로비를 한다”며 4명의 기자를 언급하기도 한다.
한편 해당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송수진 KBS 기자는 지난 9월 제419회 '이달의 기자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송 기자는 수상 소감으로 “우리는 세상이 손톱만큼이라도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그 믿음으로 권력도, 기업(인)도, 제도도 비판한다”며 “설령 그 대상에 우리 기자가 오른다 해도 비판은 유효하고, 믿음은 변함없다”고 전한 바 있다.'
[미디어오늘 정민경 기자]
https://v.daum.net/v/20251008204512125



알면서도 당하는 뉴스매매..
뉴스분석보다 손이 먼저 나가요ㅋㅋㅋ
ㅎㅎㅎㅎㅎ
하... 깝깝합니다. ㅡㅡㅋㅋㅋ
더더더 깝깝해질거 같은데요.. 대체거래 12시간 거래할 예정인거 같던데요
24시간이요.ㅋ
ㅋㅋㅋ지금이 12시간이쥬 ㅎㅎ
반대로가야...ㅠ
그러게말입니다. 보유한 종목이 뉴스 뜨길요ㅋㅋㅋ
오늘도 화팅입니다
열공성투 대승하세요~
기자 부럽네요
기자가 바이돈님 부러워하게 100억 성공개미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