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와 매출 성장을 동시에 한눈에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는 **EV/Sales(기업가치 대비 매출액 비율)**에 매출액 증가율을 결합하여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1. 주요 지표: EV/Sales와 매출액 증가율
EV/Sales (기업가치 대비 매출액 비율)
* 개념: 회사의 **시장 가치(EV, Enterprise Value)**가 연간 **매출액(Sales)**의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 저평가 판단: 이 비율이 낮을수록 회사의 시장 가격(EV)이 매출액에 비해 저평가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익은 아직 미미하지만 매출이 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성장주)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매출액 증가율 (Revenue Growth Rate)
* 개념: 전년 대비 또는 전 분기 대비 회사의 매출액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 성장 판단: 이 수치가 높을수록 회사의 사업이 확장되고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장기적인 주가 상승의 중요한 동력이 됩니다.
결합 분석 (매매 기법)
이 두 지표를 결합하여 스크리닝하거나 분석하는 것이 '저평가이면서 매출이 오르는 주식'을 찾는 핵심적인 방법입니다.
* 매매 기법: EV/Sales 비율은 낮으면서 (저평가), 매출액 증가율은 높은 종목을 선별합니다.
* 예: 동종 산업 평균 대비 EV/Sales가 낮고, 연간 매출액 증가율이 20% 이상인 종목을 찾는 식입니다.
2. 다른 유용한 지표 조합
매출 외에 수익성과 결합하여 저평가를 판단할 때는 다음과 같은 지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EV/EBITDA와 매출액 증가율
* EV/EBITDA (기업가치 대비 상각 전 영업이익): 기업의 실질적인 현금 창출 능력(EBITDA) 대비 기업가치(EV)가 몇 배인지를 나타냅니다.
* EV/EBITDA가 낮을수록 저평가로 간주되며, 특히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이나 초기 투자 비용이 큰 기업을 평가할 때 유용합니다.
* 분석: EV/EBITDA가 낮으면서 매출액 증가율이 높은 기업을 찾으면, 현재 저평가 상태이지만 미래의 이익 창출 기반(매출)이 강력하게 성장하는 기업을 포착할 수 있습니다.
P/E 비율과 주당순이익(EPS) 증가율
* P/E (주가수익비율): 주가가 주당순이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며, 가장 대중적인 저평가 지표입니다.
* P/E가 낮을수록 저평가로 간주됩니다.
* EPS 증가율: 기업의 순이익이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는지를 보여줍니다. 매출 성장과 더불어 실제 이익 성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분석: 낮은 P/E와 높은 EPS 증가율을 동시에 가진 기업은 '저평가된 성장주'로 분류되며, 이는 현재 주가에 비해 미래 이익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종목을 찾는 전통적인 가치 투자 기법입니다.
3. 유의 사항
지표는 과거 및 현재의 재무 상태를 나타낼 뿐이므로,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정성적 분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산업 비교: 지표의 절대적인 수치보다 같은 산업 내 경쟁사 또는 역사적 평균과 비교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 재무 건전성: 부채 비율, 현금 흐름 등을 확인하여 기업의 재무 상태가 안정적인지 점검해야 합니다.
* 경영진 및 경쟁력: 경영진의 능력, 독점적인 기술이나 시장 지위(해자) 등 기업의 경쟁 우위를 함께 고려해야 오판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새글, 댓글, 좋아요 등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
중요한 부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