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D는 **이동평균 수렴/발산 지수(Moving Average Convergence/Divergence)**의 약자로, 추세의 강도, 방향, 모멘텀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기술적 지표입니다.
MACD 지표의 기본 구성
MACD 지표는 주로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MACD 선: 단기 이동평균선(보통 12일)에서 장기 이동평균선(보통 26일)을 뺀 값입니다. 이 값이 양수이면 단기 이동평균이 장기 이동평균보다 위에 있어 상승 추세를, 음수이면 하락 추세를 나타냅니다.
* 시그널 선: MACD 선의 9일 이동평균선으로, MACD 선의 추세 변화를 부드럽게 보여줍니다.
* MACD 히스토그램: MACD 선과 시그널 선의 차이를 막대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히스토그램의 크기는 추세의 강도를 나타내며, 0선을 중심으로 변동합니다.
MACD 매매법 핵심 전략
MACD 매매법은 주로 다음 세 가지 신호를 활용합니다.
* 골든 크로스(Golden Cross)와 데드 크로스(Dead Cross):
* 매수 신호 (골든 크로스):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상향 돌파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상승 모멘텀이 강화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매도 신호 (데드 크로스): MACD 선이 시그널 선을 하향 돌파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하락 모멘텀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기준선(0) 교차:
* 매수 신호: MACD 선이 0선을 상향 돌파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단기 추세가 장기 추세보다 강해져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 매도 신호: MACD 선이 0선을 하향 돌파할 때 발생합니다. 이는 상승 추세가 약해져 하락세로 전환될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 다이버전스(Divergence):
* 상승 다이버전스: 주가는 저점을 낮추는데 MACD는 저점을 높이는 현상입니다. 이는 하락 추세가 약해지고 곧 상승 반전이 올 수 있다는 강력한 매수 신호입니다.
* 하락 다이버전스: 주가는 고점을 높이는데 MACD는 고점을 낮추는 현상입니다. 이는 상승 추세가 약해지고 곧 하락 반전이 올 수 있다는 매도 신호입니다.
MACD 매매 시 유의점
* 후행성 지표: MACD는 이미 발생한 가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후행성 지표에 속합니다. 따라서 신호가 늦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횡보장에서의 오류: 추세가 없는 횡보장에서는 잦은 골든 크로스/데드 크로스가 발생하여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단독 사용의 한계: MACD는 다른 기술적 지표(RSI, 스토캐스틱 등)와 함께 사용하면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손절매 원칙: 어떤 매매법이든 100% 성공률은 없으므로, 반드시 손절매 원칙을 세우고 지켜야 합니다.



굿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