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 전 3분 증시] 2025년 7월 24일 오늘의 증시 경제 모닝브리핑

100
드리고
작성: 2025.07.24 06:31

글로벌 증시는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다우지수는 1.14%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S&P 500과 나스닥도 각각 0.78%, 0.61% 상승함에 따라 투자심리가 개선된 모습입니다. 유럽과 일본에서도 호조세가 나타났습니다. 한국 증시 역시 외국인 및 기관의 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소폭 상승했습니다.

환율은 달러 및 유로화가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예탁금이 증가하여 투자자들의 시장 참여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주요 기업들이 실적 발표를 앞둔 만큼, 이들 종목에 대한 주목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실적 발표가 전반적인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로벌 정보

세계 주요 지수
현물종가등락룰선물종가등락률
코스피3,183.77p+0.44%코스피200주간430.40p+0.33%
코스닥813.56p+0.07%코스피200야간433.20p+0.65%
다우존스45,010.29p+1.14%다우45,214.00p+1.13%
나스닥 종합21,020.02p+0.61%나스닥 10023,310.75p+0.36%
S&P 5006,358.91p+0.78%S&P 5006,396.25p+0.78%
VIX15.37p-6.85%
상해종합3,582.30p+0.01%China A5014,064.00p-0.01%
심천종합2,177.21p-0.54%
니케이 22541,171.32p+3.51%니케이 22541,705.00p+1.29%
토픽스2,926.38p+3.18%
💬 세계 주요 지수 요약:

전날 다우존스 지수가 1.14%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S&P 500과 나스닥 역시 각각 0.78%와 0.61% 상승했습니다. 이는 경제 회복세에 대한 낙관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됩니다. 일본의 니케이 225와 토픽스 지수도 각각 3.51%, 3.18% 급등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국내 증시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이 각각 0.44%와 0.07% 상승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으며, 실적 발표를 앞둔 주요 종목들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통상적인 상승세를 감안할 때, 국내 증시는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게 보입니다.

환율
날짜달러유로엔화
07/231,376.50원-0.36%1,619.73원-0.21%939.40원-0.28%
07/221,381.50원-0.13%1,623.19원+0.35%942.07원+0.36%
07/211,383.30원-0.63%1,617.56원-0.05%938.69원+0.21%
07/181,392.10원+0.04%1,618.32원+0.11%936.75원-0.14%
07/171,391.50원+0.32%1,616.51원+0.16%938.11원+0.00%
07/161,387.00원-0.04%1,613.98원+0.25%938.08원+0.67%
07/151,387.50원+0.31%1,609.92원-0.23%931.80원-0.47%
07/141,383.20원+0.29%1,613.71원+0.27%936.21원+0.10%
07/111,379.20원+0.49%1,609.39원+0.23%935.30원-0.37%
07/101,372.50원-0.17%1,605.62원-0.39%938.75원-0.15%
07/091,374.80원+0.24%1,611.95원+0.21%940.13원+0.48%
07/081,371.50원-0.33%1,608.63원-0.39%935.63원-0.82%
07/071,376.00원+0.70%1,614.87원+0.31%943.40원-0.24%
07/041,366.50원+0.22%1,609.81원+0.42%945.71원+0.51%
07/031,363.50원+0.55%1,603.14원+0.21%940.93원-0.33%
07/021,356.00원-0.15%1,599.74원-0.22%944.06원-0.29%
07/011,358.00원+0.30%1,603.19원+0.44%946.80원+0.63%
06/301,354.00원-0.73%1,596.16원-0.23%940.90원-0.32%
06/271,364.00원+0.40%1,599.90원+0.81%943.91원+0.49%
06/261,358.50원-0.18%1,587.07원+0.02%939.33원+0.23%
06/251,361.00원+0.15%1,586.79원+0.60%937.13원-0.04%
06/241,359.00원-0.98%1,577.32원-0.92%937.53원-0.36%
06/231,372.50원-0.29%1,592.03원+0.67%940.94원+0.06%
06/201,376.50원-0.09%1,581.46원-0.16%940.36원-0.68%
06/191,377.80원+0.24%1,583.99원+0.41%946.78원-0.09%
06/181,374.50원-0.36%1,577.51원-0.35%947.67원-0.12%
06/171,379.50원+1.51%1,583.11원+0.82%948.83원+0.99%
06/161,359.00원-0.69%1,570.26원-0.50%939.54원-0.74%
06/131,368.50원+0.89%1,578.22원+0.41%946.53원+0.13%
06/121,356.40원-1.03%1,571.80원-0.34%945.26원-0.54%
더 보기
⬆ 추가 채권 정보가 표시되었습니다
💬 환율 요약:

환율 시장에서는 달러화가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1,376.5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 거래일보다 0.36% 하락한 수치로, 투자자들은 향후 금리 인상 여부와 글로벌 경제 지표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달러 약세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시장으로의 유입에 긍정적인 이점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코스피 및 코스닥의 상승세와도 연관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유로화와 엔화도 같은 맥락에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원화 강세가 지속되는 경우, 수출 기업들에 대한 부담이 완화될 전망입니다. 결론적으로, 달러화의 하락은 한국 시장의 긍정적인 흐름을 더욱 촉진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채권
만기한국미국영국일본
1개월--4.2940-0.14%4.16800.00%0.4560+0.89%
2개월--4.35500.00%----
3개월--4.3610+0.37%4.1510+0.10%0.4230-0.47%
6개월--4.2710+0.12%4.1040+0.10%0.4550+0.66%
9개월------0.5700+0.71%
1년2.3700-0.21%4.0890+0.64%3.7990+0.18%0.6720-1.47%
2년2.4180-0.21%3.8840+1.38%3.8950+0.05%0.8330+0.48%
3년2.4530-0.37%3.8330+1.48%3.89000.00%0.9260+0.65%
4년2.5760+0.31%--3.9680+0.08%1.0450+0.87%
5년2.6150-0.23%3.9360+1.55%4.0550+0.10%1.1240+0.45%
6년----4.2190+0.02%1.2500+0.16%
7년--4.1440+1.30%4.2290+0.09%1.3510-0.07%
8년----4.4410+0.11%1.4360+0.42%
9년----4.5730+0.15%1.5500+0.06%
10년2.8300-0.39%4.3840+1.11%4.6420+0.02%1.5940-0.06%
12년----4.8500+0.10%--
15년----5.1390+1.46%2.5300-0.32%
20년2.8350+0.85%4.9270+0.72%5.3650+0.13%2.6060+0.23%
25년----5.4480+0.06%--
30년2.7390-0.54%4.9390+0.73%5.5160+0.88%3.1340-0.06%
40년----5.4560+0.06%3.4600-0.14%
50년2.59500.00%--4.8640+0.02%--
더 보기
⬆ 추가 채권 정보가 표시되었습니다
💬 국채 요약:

국채 시장에서는 한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2.83%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소폭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 또한 낮은 변동성을 유지하고 있어 시장의 안전자산 선호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글로벌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으로 몰리는 모습과 맞물려 있습니다.

한국 국채 금리가 하락하는 것은 정부의 부채 관리와 금리 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업들에게는 보다 낮은 차입 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실물경제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금리 동향에 따라 향후 경제 지표와 통화 정책 변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질 전망입니다.

일정

증시 일정
  • 美) 6월 신규주택매매(현지시간)
  • SK하이닉스 실적발표
  • 中-EU, 정상회담 개최
  • 넥슨, 배틀로얄 PC 게임 ‘슈퍼바이브’ 정식 출시
  •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7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
  • 8월 국고채 및 재정증권, 원화표시 외평채 발행계획
  • 현대차 실적발표
  • 한화엔진 실적발표
  • 삼성중공업 실적발표
  • 삼성E&A 실적발표
  • 삼성에스디에스 실적발표
  • KB금융 실적발표
  • 기업은행 실적발표
  • JB금융지주 실적발표
  • 제주은행 실적발표
  • 현대글로비스 실적발표
  • 현대제철 실적발표
  • HD현대건설기계 실적발표
  • HD현대마린솔루션 실적발표
  • LG디스플레이 실적발표
  • LS에코에너지 실적발표
  • LS ELECTRIC 실적발표
  • OCI홀딩스 실적발표
  • LX하우시스 실적발표
  • LX세미콘 실적발표
  • 엠앤씨솔루션 실적발표
  • 동아에스티 실적발표
  • 동아쏘시오홀딩스 실적발표
  • 에스티팜 실적발표
  • SBI핀테크솔루션즈 상장폐지
  • 헥토파이낸셜 권리락(무상증자)
  • 현대바이오 권리락(무상증자)
  • 뉴로메카 추가상장(주식매수선택권행사)
  • 지엘팜텍 추가상장(주식매수선택권행사)
  •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 美) 6월 시카고 연은 국가활동지수(현지시간)
  • 美) 7월 제조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 美) 7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현지시간)
  • 美) 7월 합성 PMI 예비치(현지시간)
  • 美) 7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 美) 유니언퍼시픽 실적발표(현지시간)
  • 美) 인텔 실적발표(현지시간)
  • 美) 허니웰 실적발표(현지시간)
💬 증시 일정 요약:

증시 일정을 살펴보면, 오늘은 SK하이닉스와 현대차를 비롯한 여러 기업들이 2분기 실적 발표를 예정하고 있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매출액 16.42조원, 영업이익 5.46조원 등의 실적을 예상 중이며, 이는 긍정적인 반전 신호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오전 8시에 발표될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와 7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역시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성과에 따라 주식 시장의 반응이 클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데이터와 주요 기업 실적 발표가 오늘 증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밤사이 주요 사항

뉴스
💬 최신 뉴스 요약:

최신 뉴스에 따르면, 미국 증시는 최근 1.14% 상승하며 다우 존스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무역협상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과 주요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 발표가 크게 작용했습니다. 특히, 알파벳이 예상치를 초과하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습니다.

또한, 일본과 EU 간의 무역 합의 소식이 전해지며 글로벌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 요인은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을 시사하며, 향후 주요 기업 실적 발표와 함께 시장의 추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개인들의 관심 종목
uam수소연료전지수소차애플페이전기차

07/24 美 전기차 시장 테슬라 주춤하고 GM 부상…현대차 제치고 2위

07/24 日 車관세 인하에 현대차 비상… 美, 추가 투자 압박 가능성

07/24 현대차 "삼계탕 드시고 건강한 여름 나세요"

전력전력설비

07/22 [특징주] 제일일렉트릭, 재생에너지·AI發 40조 배전망 시장 본격 개화·...

07/18 제일일렉트릭 주가 쑥쑥...이튼 전력설비 핵심 파트너 AI 인프라 수혜주...

07/18 제일일렉트릭, 하락 하루만에 7% 급등...1만3000원선 재돌파

대두대체육데몬헌터스소금수산물식품천일염

07/23 [특징주] 풀무원, 中 냉동 김밥 인기에 실적 기대감…20% 급등

07/23 [특징주] 풀무원 주가 20%대 급등…中 냉동김밥 흥행에 투자심리 '들썩...

07/23 [특징주] 풀무원 급등, "中 냉동김밥 판매량 급증" K푸드 열풍에 실적 확...

구리전력설비

07/14 美 수출 쾌조 산일전기, 2분기 영업익 400억 첫 돌파할 듯

07/01 "산일전기, 2공장 증설로 장기 고성장 안배... 목표가 상향" -LS증권

07/01 "산일전기, 경쟁사 대비 성장성·수익성 압도적…목표가↑"-LS

cbdcuam데몬헌터스블록체인수리남스테이블코인웹툰음원

07/24 카카오 15억, 네이버·KT 10억… 기업들 수해 복구 성금 이어져

07/23 카카오게임즈, 아키에이지 워에 '파멸의 카르나일' 신규 탈것 추가

07/23 카카오페이, ‘하르방·팬더’ 체크카드 한정판 출시

미중무역전쟁자동차부품전기차화재

07/23 SK하이닉스, 상반기 성과급 '150%' 지급…보통주 375원 현금배당

07/23 SK하이닉스, 1주당 375원 배당…2600억원 규모

07/23 SK하이닉스 상반기 성과급 기본급 150% 지급..노조 반발 여전

가스관철강

07/23 혼조세 보인 코스피, 하이스틸·넥스틸·휴스틸·동양스틸 등 철강주 '강...

07/23 [특징주]하이스틸, 미·일 LNG 프로젝트 협력 소식에 한국도 참여 기대감...

07/23 알래스카 LNG 타고 하이스틸 주가 활짝... 가스관 공급 기대

6gAIhbmOLEDssd갤럭시링비메모리온디바이스ai제습기

07/23 기관, 현대차·기아 '왕성한 식욕'...삼성전자·한국전력은 차익실현 뚜...

07/23 삼성전자·SK하이닉스 차세대 DDR6 개발 본격화, DDR5보다 성능 최대 3배

07/23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 울트라에 '원 UI 8 워치' 업데이트

essSOFC신재생에너지태양광

07/21 태양광에너지 관련주, '웃음꽃 만개' 파루·한화솔루션·SK이터닉스·한...

07/04 SK이터닉스, 7월 4일 2.21퍼센트 하락 마감

06/25 SK이터닉스 주가 25,050원…장중 13.32% 급락

07/21 인투셀, 7월 21일 -4.63% 하락... 24,700원 마감

07/16 인투셀 박태교 대표, 기술이전 해지에 1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

07/15 바이오 IPO 불씨 살아나고 있었는데…인투셀發 불똥 우려

mash덱사메타손의약품존슨앤드존슨

07/23 유한양행, 비타민B 드링크 '유한메가비타액' 선보여

07/22 유한양행, 무카페인 비타민 드링크 '유한메가비타액' 출시…"피로는 줄...

07/22 '카페인·과당·설탕 3無' 유한양행, 피로회복 비타민B 드링크 '유한메가...

07/23 자동차부품 관련주, '함박웃음' 에스엘·모티브링크·디와이씨·네오오...

07/23 [특징주] 모티브링크, "韓·美 관세 협상 주목" 관세 인하 수혜주로 부각...

07/23 모티브링크 주가, 1만원선 돌파하며 횡보 깼나...지속 상승세 이어갈까...

바이오생물보안법제약

07/24 삼성바이오로직스 상반기 실적 역대 최대

07/23 삼성바이오로직스, 상반기 별도 매출 2조 돌파…'순수 CDMO' 도약 완비

07/23 [속보]삼성바이오로직스 2분기 영업익 4756억원…9.5%↑

틱톡금지화장품

07/16 [특징주] 중소형 화장품주 성장 주목…청담글로벌 23% 상승

07/16 청담글로벌 주가, 웃음꽃... 중국에서 통했다

07/16 [특징주] 청담글로벌 급등, "中 화장품 확대·실적개선" 기대감에 주가...

구리방산비철금속

07/23 안동시 풍산읍 밭에서 싱크홀 발생… 다행히 인명 피해 없어

07/16 풍산, 장중 고가 168,000원 기록…거래량 100만주 돌파

07/16 풍산 7월 16일 장중 160,800원, 3.61% 상승

투자자 현황

예탁금
날짜예탁금변동액변동률
07/2265.61조▲3,424억+0.52%
07/2165.27조▽990억-0.15%
07/1865.36조▽1.27조-1.91%
07/1766.63조▲1.04조+1.58%
07/1665.60조▽1.26조-1.88%
07/1566.85조▽1.23조-1.81%
07/1468.08조▲1.71조+2.58%
07/1166.37조▲4,322억+0.66%
07/1065.94조▲7,413억+1.14%
07/0965.20조▽1.31조-1.97%
07/0866.50조▽8,339억-1.24%
07/0767.34조▲1.95조+2.99%
07/0465.38조▽9,011억-1.36%
07/0366.29조▲2,318억+0.35%
07/0266.05조▽4.36조-6.19%
07/0170.41조▲1.44조+2.09%
06/3068.97조▲1.26조+1.86%
06/2767.71조▽1.34조-1.95%
06/2669.06조▲2.38조+3.57%
06/2566.68조▲2,655억+0.40%
06/2466.41조▲1.39조+2.14%
06/2365.02조▲8,029억+1.25%
06/2064.21조▲6,095억+0.96%
06/1963.60조▲1,059억+0.17%
06/1863.50조▽1.52조-2.34%
06/1765.02조▲544억+0.08%
06/1664.97조▲1.15조+1.80%
06/1363.82조▲8,751억+1.39%
06/1262.94조▲9,623억+1.55%
06/1161.98조▽3,676억-0.59%
06/1062.35조▲2.69조+4.51%
06/0959.66조▲1.29조+2.21%
06/0558.37조▽1.67조-2.77%
06/0460.04조▽1,533억-0.25%
06/0260.19조▲2.89조+5.05%
05/3057.30조▽7,319억-1.26%
05/2958.03조▲1.63조+2.88%
05/2856.40조▽1.10조-1.91%
05/2757.50조▲7,439억+1.31%
더 보기
⬆ 추가 예탁금 정보가 표시되었습니다
💬 투자자 예탁금 요약:

최근 국내 투자자 예탁금이 65.61조원으로 증가하며, 전 거래일 대비 3,424억 원 상승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시장 참여를 나타내는 지표로 해석될 수 있으며, 전체 예탁금이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탁금의 증가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와 더불어 개인 투자자들의 시장 신뢰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신호로, 향후 기업 실적 발표와 맞물려 투자 심리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국내 증시의 긍정적인 분위기를 이어가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용융자
날짜신용융자변동액변동률
07/2221.73조▽282억-0.13%
07/2121.76조▲74.79억+0.03%
07/1821.75조▲1,598억+0.74%
07/1721.59조▲1,163억+0.54%
07/1621.47조▲709억+0.33%
07/1521.40조▲657억+0.31%
07/1421.34조▲682억+0.32%
07/1121.27조▲2,520억+1.20%
07/1021.02조▲1,549억+0.74%
07/0920.86조▲319억+0.15%
07/0820.83조▲294억+0.14%
07/0720.80조▽86.55억-0.04%
07/0420.81조▲278억+0.13%
07/0320.78조▽999억-0.48%
07/0220.88조▽2.73억-0.00%
07/0120.88조▲930억+0.45%
06/3020.79조▲1,038억+0.50%
06/2720.68조▲1,479억+0.72%
06/2620.54조▽375억-0.18%
06/2520.57조▲4,333억+2.15%
06/2420.14조▲427억+0.21%
06/2320.10조▲2,768억+1.40%
06/2019.82조▲2,113억+1.08%
06/1919.61조▲481억+0.25%
06/1819.56조▲1,747억+0.90%
06/1719.39조▲1,738억+0.90%
06/1619.21조▲2,230억+1.17%
06/1318.99조▲1,388억+0.74%
06/1218.85조▲1,258억+0.67%
06/1118.72조▲2,073억+1.12%
06/1018.52조▽162억-0.09%
06/0918.53조▽200억-0.11%
06/0518.55조▲386억+0.21%
06/0418.51조▲1,681억+0.92%
06/0218.35조▲724억+0.40%
05/3018.27조▽671억-0.37%
05/2918.34조▲1,771억+0.97%
05/2818.16조▽114억-0.06%
05/2718.18조▲294억+0.16%
더 보기
⬆ 추가 신용융자 정보가 표시되었습니다
💬 신용융자 요약:

최근 국내 신용융자 잔고는 21.73조원으로, 전 거래일 대비 282억 원 감소했습니다. 이는 신용융자 수요가 줄어들고 있음을 시사하며, 투자자들이 보다 신중한 투자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합니다.

신용융자는 시장의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어, 잔고 감소는 투자자들이 보수적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기업 실적 발표와 경제 지표에 따라 신용융자 움직임이 변할 가능성이 높아, 시장의 흐름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의 증시 방향성

국내 증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증시가 주요 지수에서 모두 상승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점은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특히, 다우존스와 S&P 500의 상승은 미국 경제의 회복 기미를 반영하고 있어 한국 시장에도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예탁금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SK하이닉스와 현대차 등의 주요 기업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있어, 이들 기업이 예상보다 긍정적인 실적을 발표할 경우, 국내 증시는 더욱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신용융자 잔고가 감소하는 점은 투자자들이 보다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음을 나타내어, 어느 정도의 부담은 있을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긍정적인 외부 환경과 기업 실적 기대감으로 인해 상승 움직임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천6
비추천0
  • 11
    페노07.24 06:49댓글

    모닝브리핑 감사합니다

  • 14
    벤쳐이사07.24 06:56댓글

    모닝브리핑 감사합니다.

  • 12
    븹쮸07.24 07:12댓글

    모닝브리핑 감사합니다

  • 12
    성무07.24 07:29댓글

    모닝브리핑~ 감사합니다!

  • 36
    타밍맥타484807.24 08:58댓글

    좋은 아침입니다

  • 14
    넘조아07.24 09:46댓글

    항상 감사합니다

  • 15
    뀨뀨07.24 11:38댓글

    요즘 모닝브리핑을 자꾸 까먹네용 ㅠ

Go to topAdd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