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올해 최대어 ‘평택지역 전력구’ 공고 임박

8
문자는불가차단
작성: 2025.07.17 15:22
수정: 2025.07.17 15:24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507142039083090600


평택이 전력 필요한 이유는 반도체죠


이기사로

평택 = 반도체 = 전기 = 구리 

관련 공사 = TBM 공법 = 지하화  관련주를 생각해볼수 있겠습니다

📌 1. 핵심 키워드 연계 확장


카테고리관련 연계 키워드
수요처삼성전자 평택캠퍼스 2단지 = 초대형 반도체 공장 = 초고압 전력망 필요
자재고압선 = 전기 = 구리 (혹은 알루미늄) 수요 급증
공법TBM = 지하화, 노후 지상선 정비 회피 = 도심지 적용 확대 가능성
시장 테마SOC(사회간접자본), 건설, 플랜트, 전기설비, 에너지 인프라 테마
낙찰 방식종합심사낙찰제 = 기술력 보유 업체 유리 = 대형건설사 + TBM 보유사 연합 예상
장비TBM 장비 = 국내 미보유 → 기계주(특수장비 제작) 기회



📌 2. 연관 기업·테마주 아이디어


범주종목/분야비고
TBM 장비 제작씨에스베어링, 현대건설기계, 두산밥캣TBM은 일반 굴삭기와 달리 고정밀 맞춤 제작 필요, 직접 납품이 아니라도 관련 생산기술 존재
전력구 시공한미글로벌, 특수건설, 지에스건설, 코오롱글로벌전력구 시공 실적 있는 대형사, 종심제 수혜
전선·구리 관련LS전선, 가온전선, 대한전선, 서원, 삼아알미늄전력구 설치 → 구리선·전선 수요 증가
전기설비/인프라이화전기, 광명전기, 한전기술, 한전KPS한전 발주 사업은 필연적으로 설계·유지보수·감리 포함됨
반도체 플랜트 관련삼성엔지니어링,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평택캠퍼스 직접 수혜는 아니어도 전력 안정화는 필수 기반 시설
건설자재 / 콘크리트코엔텍, 삼표시멘트, 유진기업대규모 TBM 공사에 따른 자재 수요 증가



📌 3. 정책적/시장적 흐름 연결




  • ✳️ 지하화 트렌드 강화




    • 송전선 지중화는 도심지 주민 민원 해소 및 미관 정비 이슈와도 연결




    • “전선 없는 도시” 지자체 정책 확대 시 TBM 및 전력구 발주 증가 예상






  • ✳️ TBM 특화 건설사 수요 증가




    • 일반 개착식(Cut & Cover)보다 TBM이 선호되는 추세




    • 국내 TBM 기술력 보유 회사가 적어, 수입 또는 제작 협업사에 기회






  • ✳️ 전기차/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




    • 향후 전력구 사업은 단순 배전망에서 전기차 충전소·AI센터 수전설비로 확장 가능








📌 4. 체크포인트


항목주의할 점
장비주TBM은 수백억 단위로 제작 단가가 큼. 실적 반영은 느릴 수 있음
건설주수주 → 실적까지 2~3년 이상 소요, 재무/수주잔고 동시 체크 필요
테마 변동성한전의 발주일정, 공고 방식 변경에 따라 수혜주 급등락 가능
중복 낙찰 제한컨소시엄 제한 및 낙찰 중복 금지 = 수혜 기업 더 좁아질 수 있음
추천1
비추천0
신고신고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