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시장 내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가 재부각되며 차익실현이 나타난 것이 하이닉스 하락 주요 원인

12
이모차단
작성: 2025.07.17 15:15

[DS 반도체 이수림]   SK하이닉스 주가 급락 관련 코멘트


금일 SK하이닉스 장중 주가 -9%까지 하락했습니다


. HBM 시장 내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가 재부각되며 차익실현이 나타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하이닉스의 밸류에이션과는 별개로 HBM 우려로 인한 금일 주가하락은 과하다는 판단입니다. 세가지 내용 점검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HBM 시장 내 경쟁 심화 여부?

아직까지 HBM 시장 내 SK하이닉스의 경쟁력은 흔들리지 않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HBM4 샘플을 하이닉스는 3월, 마이크론은 6월 제출하였습니다.

삼성전자는 1c 공정을 적용한 HBM4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HBM4가 시장 기대 대비 ASP 상승폭이 적을 것이라는 우려 역시 삼성전자가 NVIDIA 인증을 통과하고 유의미한 공급을 시작해야 현실화 될 것입니다. 


2) HBM 공급 과잉?

대중 수출 규제 완화로 2H25부터 HBM3e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입니다.

추론용 서버 ASIC 시장의 개화 역시 2026년~2027년 본격화 될 전망입니다.

공급업체들은 여전히 수요를 확인하며 Capa를 디자인하고 있어 공급과잉을 논하기에는 이르다는 판단입니다. 


3) 가격 하락에 따른 2026년 SK하이닉스 실적 리스크

HBM4의 가격 인상분을 아주 보수적으로 20%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전체 ASP 역성장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는 판단입니다.

또한 HBM4는 원가 상승분이 3~40%로 알려져있습니다. 를 감안할 때

하이닉스 이외 공급사들이 20% 미만의 가격 프리미엄에 HBM을 공급하게 되면,

마진율이 일반 DRAM 수준까지 내려와 생산 유인이 떨어질 것입니다.


SK하이닉스의 2026년 영업이익 45조원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내년 추정치를 하향할 만한 포인트는 찾지 못했고,

가격 협상이나 경쟁 심화는 여전히 변수의 영역으로 남아있습니다.

또한 올해 하반기 순현금 상태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최근 주가상승으로 인해 밸류에이션 부담이 증가한 것은 사실이나,

시장 상황과 동사 경쟁력이 달라지지 않았음을 고려할 때 여전히 매수 의견을 유지합니다.


추천0
비추천0
신고신고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