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증권 퀀트 유명간] 주간 이익동향 (11월 2주차)
★ Summary ★
[글로벌] 선진국, 신흥국 이익모멘텀 둔화
[한국] 23년 영업이익 하향 조정 지속. 유틸리티/호텔,레저/IT가전/조선/정유↓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2.2%(DM: -2.0% > EM: -3.2%)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인도네시아(+1.4%)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한국(-9.1%), 대만(-5.5%), 미국(-3.0%), 영국(-2.5%) 등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에너지(+2.3%)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7.0%), 소재(-5.3%), IT(-4.1%) 등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4Q22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1.1%(1W), -9.5%(1M)
* 20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7%(1W), -8.6%(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10.8배, 0.91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023년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상향 업종: 보험, 상사/자본재, 화학, 통신
① 보험(+1.6%, 1W chg., 23년 영업이익)
*한화(+4.5%)는 한화솔루션 및 한화손해보험, 한화생명 실적 호조로 3분기 긍정적인 실적을 발표하면서 이익전망치↑
*참고: 한화는 WISEfn 업종에서 보험으로 분류
② 상사/자본재(+1.3%)
*삼성물산(+4.7%)은 건설 및 바이오 호조로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 시현. 건설부문 수주 증가로 이익 증가세 지속 전망
*두산(+2.4%)은 자체사업 수익성 유지 및 비상장자회사 매출 성장 반영
*한화에어로스페이스(+1.5%)는 3분기 실적은 한화시스템 매출 감소 및 중단사업 반영으로 부진. 4분기부터 폴란드 수출 반영으로 이익전망치↑
*에스원(+1.3%)은 시스템보안 성장세 지속으로 3분기 긍정적인 실적 발표
*반면, 효성(-17.0%), 한화시스템(-9.7%)의 이익전망치↓
③ 화학(+0.8%)
*한화솔루션(+6.5%)은 태양광 모듈 판매량 증가 및 운송비 감소 효과로 이익전망치↑
*롯데정밀화학(+2.7%)는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로 이익전망치↑. 그러나 ECH 약세 및 정기보수 영향으로 4분기 부진할 전망
*LG화학(+0.5%)은 첨단소재 성장으로 화학 부문 실적 부진을 만회
*반면, 효성화학(-11.2%)은 시황 둔화로 2분기에 이어 3분기도 영업적자 기록
* 통신(+0.3%,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상향 조정
▶컨센서스 하향 업종: 유틸리티, 호텔/레저, 2차전지(IT가전), 조선/기계, 정유
① 유틸리티(적자폭 확대, 1W chg., 23년 영업이익)
*한국전력(-14.9조원→-15.5조원)은 연료비 부담 지속으로 내년 영업적자 폭이 확대
*반면, SK가스(+10.5%)는 판가 인상 효과로 3분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
② 호텔/레저(-3.4%)
*호텔신라(-13.4%)는 판촉비 증가에 따른 면세 수익성 악화가 지속
*롯데관광개발(-5.7%)은 중국 봉쇄 정책 및 정치 불확실성으로 이익전망치↓
③ 2차전지(IT가전)(-2.8%)
*SK아이이테크놀로지(-34.5%)는 주요 고객사 수율 이슈 및 IT용 분리막 출하량 역성장이 지속되면서 3분기 영업적자 폭이 확대
*LG전자(-5.1%)는 H&A(가전), HE(TV) 수요 부진 및 경쟁 비용 증가로 실적 둔화가 지속
*반면, 에코프로비엠(+5.1%)는 양극재 매출 성장 지속으로 이익전망치↑
* 조선/기계(-2.8%,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등), 에너지(-1.7%, SK이노베이션, S-Oil) 하향 조정
■ Commentary
선진국, 신흥국의 12개월 선행 EPS는 1개월 전 대비 각각 -2.0%, -3.2% 하향 조정됐습니다. 선진국은 미국, 신흥국은 한국, 대만의 이익모멘텀이 가장 부진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소재, IT의 실적이 크게 하향 조정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3Q22 실적 발표가 56%(시가총액 기준) 정도 진행됐습니다. 11/4까지 실적 발표를 마친 기업들의 3분기 매출액은 물가 상승 및 환율 효과로 컨센서스를 +1.2% 상회했습니다. 영업이익, 순이익은 기대치를 각각 -8.7%, -13.6% 하회했습니다(삼성전자 제외시 +2.4%/-8.8%/-19.3%). 영업이익 기준 서프라이즈 비율은 44%(=83개/189개) 입니다.
국내 기업들의 4Q22, 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주일 간 각각 -1.1%, -0.7% 하향 조정됐습니다. 지난주 대비 하향 조정의 폭은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23년 영업이익 증가율 컨센서스는 +0.7% 수준입니다(22년은 -2.3%). 유틸리티(한국전력), 호텔/레저, IT가전, 조선, 에너지, 증권, 소프트웨어 업종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컸습니다.
지난 1주일 간 2023년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폭이 큰 기업(컨센서스 추가/삭제 제외)은 에코프로, 애경산업, 대한항공, SK가스, 삼성물산, 한화솔루션, 한미약품, 한화, 롯데정밀화학, BGF리테일, 현대글로비스, LS ELECTIRC, 영원무역,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입니다.
■ Earnings Revision(11월 2주차)
https://me2.kr/wcrtt
*미래에셋증권 퀀트 텔레그램 채널
t.me/miraequant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Summary ★
[글로벌] 선진국, 신흥국 이익모멘텀 둔화
[한국] 23년 영업이익 하향 조정 지속. 유틸리티/호텔,레저/IT가전/조선/정유↓
■ 글로벌 이익동향(MSCI, 12MF EPS)
* 전세계 EPS 변화율(1M)
: -2.2%(DM: -2.0% > EM: -3.2%)
* 컨센서스 상향 국가(1M)
: 인도네시아(+1.4%)
* 컨센서스 하향 국가(1M)
: 한국(-9.1%), 대만(-5.5%), 미국(-3.0%), 영국(-2.5%) 등
* 컨센서스 상향 업종(1M, DM+EM)
: 에너지(+2.3%)
* 컨센서스 하향 업종(1M, DM+EM)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7.0%), 소재(-5.3%), IT(-4.1%) 등
■ 국내 이익동향 및 밸류에이션
* 4Q22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1.1%(1W), -9.5%(1M)
* 20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 변화
: -0.7%(1W), -8.6%(1M)
* KOSPI 12M Fwd. PER, 12M Trail. PBR
: 10.8배, 0.91배
■ 국내 업종별 이익동향(2023년 영업이익 기준)
▶컨센서스 상향 업종: 보험, 상사/자본재, 화학, 통신
① 보험(+1.6%, 1W chg., 23년 영업이익)
*한화(+4.5%)는 한화솔루션 및 한화손해보험, 한화생명 실적 호조로 3분기 긍정적인 실적을 발표하면서 이익전망치↑
*참고: 한화는 WISEfn 업종에서 보험으로 분류
② 상사/자본재(+1.3%)
*삼성물산(+4.7%)은 건설 및 바이오 호조로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 시현. 건설부문 수주 증가로 이익 증가세 지속 전망
*두산(+2.4%)은 자체사업 수익성 유지 및 비상장자회사 매출 성장 반영
*한화에어로스페이스(+1.5%)는 3분기 실적은 한화시스템 매출 감소 및 중단사업 반영으로 부진. 4분기부터 폴란드 수출 반영으로 이익전망치↑
*에스원(+1.3%)은 시스템보안 성장세 지속으로 3분기 긍정적인 실적 발표
*반면, 효성(-17.0%), 한화시스템(-9.7%)의 이익전망치↓
③ 화학(+0.8%)
*한화솔루션(+6.5%)은 태양광 모듈 판매량 증가 및 운송비 감소 효과로 이익전망치↑
*롯데정밀화학(+2.7%)는 3분기 어닝서프라이즈로 이익전망치↑. 그러나 ECH 약세 및 정기보수 영향으로 4분기 부진할 전망
*LG화학(+0.5%)은 첨단소재 성장으로 화학 부문 실적 부진을 만회
*반면, 효성화학(-11.2%)은 시황 둔화로 2분기에 이어 3분기도 영업적자 기록
* 통신(+0.3%, SK텔레콤, LG유플러스, KT) 상향 조정
▶컨센서스 하향 업종: 유틸리티, 호텔/레저, 2차전지(IT가전), 조선/기계, 정유
① 유틸리티(적자폭 확대, 1W chg., 23년 영업이익)
*한국전력(-14.9조원→-15.5조원)은 연료비 부담 지속으로 내년 영업적자 폭이 확대
*반면, SK가스(+10.5%)는 판가 인상 효과로 3분기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상회
② 호텔/레저(-3.4%)
*호텔신라(-13.4%)는 판촉비 증가에 따른 면세 수익성 악화가 지속
*롯데관광개발(-5.7%)은 중국 봉쇄 정책 및 정치 불확실성으로 이익전망치↓
③ 2차전지(IT가전)(-2.8%)
*SK아이이테크놀로지(-34.5%)는 주요 고객사 수율 이슈 및 IT용 분리막 출하량 역성장이 지속되면서 3분기 영업적자 폭이 확대
*LG전자(-5.1%)는 H&A(가전), HE(TV) 수요 부진 및 경쟁 비용 증가로 실적 둔화가 지속
*반면, 에코프로비엠(+5.1%)는 양극재 매출 성장 지속으로 이익전망치↑
* 조선/기계(-2.8%,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현대중공업 등), 에너지(-1.7%, SK이노베이션, S-Oil) 하향 조정
■ Commentary
선진국, 신흥국의 12개월 선행 EPS는 1개월 전 대비 각각 -2.0%, -3.2% 하향 조정됐습니다. 선진국은 미국, 신흥국은 한국, 대만의 이익모멘텀이 가장 부진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소재, IT의 실적이 크게 하향 조정됐습니다.
국내 기업들의 3Q22 실적 발표가 56%(시가총액 기준) 정도 진행됐습니다. 11/4까지 실적 발표를 마친 기업들의 3분기 매출액은 물가 상승 및 환율 효과로 컨센서스를 +1.2% 상회했습니다. 영업이익, 순이익은 기대치를 각각 -8.7%, -13.6% 하회했습니다(삼성전자 제외시 +2.4%/-8.8%/-19.3%). 영업이익 기준 서프라이즈 비율은 44%(=83개/189개) 입니다.
국내 기업들의 4Q22, 23년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주일 간 각각 -1.1%, -0.7% 하향 조정됐습니다. 지난주 대비 하향 조정의 폭은 줄어들었습니다. 현재 23년 영업이익 증가율 컨센서스는 +0.7% 수준입니다(22년은 -2.3%). 유틸리티(한국전력), 호텔/레저, IT가전, 조선, 에너지, 증권, 소프트웨어 업종의 실적 하향 조정 폭이 컸습니다.
지난 1주일 간 2023년 영업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폭이 큰 기업(컨센서스 추가/삭제 제외)은 에코프로, 애경산업, 대한항공, SK가스, 삼성물산, 한화솔루션, 한미약품, 한화, 롯데정밀화학, BGF리테일, 현대글로비스, LS ELECTIRC, 영원무역,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입니다.
■ Earnings Revision(11월 2주차)
https://me2.kr/wcrtt
*미래에셋증권 퀀트 텔레그램 채널
t.me/miraequant
편안한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
0
신고 




정보공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