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건설/REITs 장문준]
[건설/플랜트 기자재] [유럽 탐방기 II] 전통과 친환경. 중동 ‘양수겸장’ 투자의 시대
KB증권 건설/REITs 장문준 (02-6114-2928)
** 9월 유럽 출장 후 두번째 탐방기로 저희 KB증권 스몰캡팀과 함께 플랜트 업황 및 플랜트 기자재에 대한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 플랜트 시장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해 파악하고자 지난 9/23, 9/27 양일간 영국 및 이탈리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EPC기업 2개 회사와 직접 방문 및 컨퍼런스콜 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 유럽 EPC기업들은 현재 플랜트 시장을 장기 호황의 초입기 (beginning of multi-year upcycle)로 보고 있었습니다. 전통적인 Oil & Gas 플랜트 영역뿐만 아니라 친환경 플랜트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플랜트 시장의 개선 강도와 지속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 불안정한 매크로 상황에도 불구하고 발주시장의 개선 양상이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는데, 이는 ① 유가 및 가스 가격 강세에 더불어, ② 장기적인 에너지 전환 테마가 플랜트 시장 개선의 핵심 동력으로서 발주처 입장에서는 매크로 상황보다 더 중요한 발주, 투자 이유가 존재한다고 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2023년도 약 40% 가량의 시장 개선을 전망하는 가운데 MENA 지역 플랜트 업황과 관련하여 3가지 기억해둘 결을 짚어보았습니다. 첫째, 2022년보다는 2023년부터 최종 계약 및 본격적인 발주물량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둘째, 발주시장의 온기가 지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대형 친환경 플랜트의 발주가 본격화되고 있음도 주목할 만합니다. 현재 MENA 지역에서는 총 46개의 그린수소 프로젝트가 추진 중인데 대표적으로 금년 12월 Financing Close를 앞두고 있는 65억 달러규모의 네옴 수소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 업황 개선 속 지속적인 화공플랜트 수주 확보와 친환경 플랜트 영역 진출이 예상되면서 삼성엔지니어링의 주가 선전이 기대되는 가운데 해외수주에 다소 보수적인 한국 EPC기업과 달리 업종 과점화로 시장 개선의 효과를 크게 누릴 가능성이 있는 주요 플랜트 기자재업체인 태광,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를 관심주로 제시힙니다.
* 상세내용은 리포트를 보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극악의 변동성 장에서도 항상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클릭: https://bit.ly/3U5iqiI
* 위 내용은 금일 발간된 리포트에 포함된 내용입니다.
[건설/플랜트 기자재] [유럽 탐방기 II] 전통과 친환경. 중동 ‘양수겸장’ 투자의 시대
KB증권 건설/REITs 장문준 (02-6114-2928)
** 9월 유럽 출장 후 두번째 탐방기로 저희 KB증권 스몰캡팀과 함께 플랜트 업황 및 플랜트 기자재에 대한 자료를 작성하였습니다.
* 플랜트 시장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해 파악하고자 지난 9/23, 9/27 양일간 영국 및 이탈리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EPC기업 2개 회사와 직접 방문 및 컨퍼런스콜 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 유럽 EPC기업들은 현재 플랜트 시장을 장기 호황의 초입기 (beginning of multi-year upcycle)로 보고 있었습니다. 전통적인 Oil & Gas 플랜트 영역뿐만 아니라 친환경 플랜트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플랜트 시장의 개선 강도와 지속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 불안정한 매크로 상황에도 불구하고 발주시장의 개선 양상이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는데, 이는 ① 유가 및 가스 가격 강세에 더불어, ② 장기적인 에너지 전환 테마가 플랜트 시장 개선의 핵심 동력으로서 발주처 입장에서는 매크로 상황보다 더 중요한 발주, 투자 이유가 존재한다고 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2023년도 약 40% 가량의 시장 개선을 전망하는 가운데 MENA 지역 플랜트 업황과 관련하여 3가지 기억해둘 결을 짚어보았습니다. 첫째, 2022년보다는 2023년부터 최종 계약 및 본격적인 발주물량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둘째, 발주시장의 온기가 지역적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셋째, 대형 친환경 플랜트의 발주가 본격화되고 있음도 주목할 만합니다. 현재 MENA 지역에서는 총 46개의 그린수소 프로젝트가 추진 중인데 대표적으로 금년 12월 Financing Close를 앞두고 있는 65억 달러규모의 네옴 수소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 업황 개선 속 지속적인 화공플랜트 수주 확보와 친환경 플랜트 영역 진출이 예상되면서 삼성엔지니어링의 주가 선전이 기대되는 가운데 해외수주에 다소 보수적인 한국 EPC기업과 달리 업종 과점화로 시장 개선의 효과를 크게 누릴 가능성이 있는 주요 플랜트 기자재업체인 태광, 성광벤드, 하이록코리아를 관심주로 제시힙니다.
* 상세내용은 리포트를 보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극악의 변동성 장에서도 항상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클릭: https://bit.ly/3U5iqiI
* 위 내용은 금일 발간된 리포트에 포함된 내용입니다.
2
0
신고 
ㄳ
우아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