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황 모음

49
차트꾼차단
작성: 2025.03.27 17:59

20250327175616708_1uq8wU.p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50327175702432_t5k2ig.pngㅡㅡㅡㅡㅡㅡㅡ

🌕03/27(목)브리핑🌕

➖➖➖➖➖➖➖➖➖

-코스피 -1.39% 하락 코스닥 -1.25%하락

-트럼프 자동차 관세 발표, GM 등 시간외서 일제 급락

-EU "트럼프 '25% 車관세' 발표 깊은 유감…협상 통한 해결 모색"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마감시황브리핑


코스피 2607.1p (-1.39%)

코스닥 707.4p (-1.25%)


이번주 시장은 유독 하루하루 크게 출렁이고 있습니다.


어제 살짝 반등 시도가 있었지만 오늘은 전방위적으로 급락하며 양지수 -1% 이상 밀렸고, 하락 종목수는 또 1800개 가량 쏟아졌는데요.


이렇게 하락 종목수가 많은 날이 누적되면서 어느덧 ADR은 과매도권에 진입 중입니다.


체감적으로 지난 12월 초와 비슷한 수준의 침체 및 흘러내림이 나타나고 있는 겁니다.


코스피 지수는 연중 고가 수준에서 큰 문제 없어 보이지만 삼성전자에 의한 왜곡이 크다는 것 잘 아실 겁니다.


삼성전자가 수급을 빨아들여 혼자만 강한 시장은 심리적, 체감적으로 힘든 경우가 많은데 이번 코스에 또 그걸 통감하게 되네요.


그런데 다음주 중에는 시장의 변화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잔뜩 걱정하고 있는 공매도 재개 +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이 노출될 예정이고, 전체적인 종목들의 과매도와 왜곡도 피크를 찍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한번 정도 투매를 연출해서 신용을 확 털고 돌리지 않을까 정도는 열어두고 있습니다. (코스피 2600p 이하, 코스닥 700p 이하)


공매도 재개로 또 어떤 변화가 생길까..


기관은 공매도 포지션을 구축하면 그 2배수 만큼의 매수 여력이 더 생긴다고 하죠. (공격적인 롱-숏 전략 가능)


그러니 업황이 좋지 않아 공매도의 타겟이 되는 종목도 있겠지만 반대로 본격적인 롱 베팅이 시작되는 종목도 반드시 탄생할 겁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50327175819449_6M6r7W.p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50327175826193_y7hpKw.p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5032717583293_f4rTVK.p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마감 시황. 관세, 경기 우려, 신용 물량 걱정 겹치며


자동차 관세, 연준 인사들의 발언 등 여파에 하락

트럼프,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 부과 한다고

주초 '유연성' 언급 이 후 다시 강경 모드로 나온 것

이 후 관대할 것이라는 언급했으나 이 자체도 모호

아시아 주요 자동차주 하락하며 영향 받는 모습

GM, 포드 등 시간 외 하락하며 반응

4월 초까지 관세 자체는 불확실하다는 분석 우세


미중간 반도체  강등, 일부 뉴스도 지수에 영향

중국측, 효율 문제로 엔비디아 제품 구매 자제 압박

마이크로소프트. 일부 데이터센터 계획 철회 보도


연준 인사들의 메세지도 일부 영향

비둘기파인 굴스비. 금리인하 늦어질수 있다고 발언

항상 금리는 제법 내려갈 것이라고 언급했던 인사

무살렘은 관세의 인플레 영향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최근 연준 인사들 메세지가 이전 보다 강해졌음

경기, 인플레에 대한 우려를 일부 자극하는 발언

S&P. 한국 성장 전망 2.0% → 1.2% 하향

아시아 국가 중 최대폭 하향


장후반에는 신용 관련 물량 일부 출회 추정

코스닥 종가 기준 2월 초 이 후 저점 깨지며 움직인 듯

이 후 추가 하락시 신용 관련 매물 더 나올 가능성도


외국인 현물, 선물 모두 순매도

현물 매도 규모 자체는 큰 편은 아니었음

전기전자 매수. 금융, 화학, 운송장비 매도

기관은 유통, 건설, 금융 매수. 전*차, 제약 매도

특히 막판에 매도를 강화해 낙폭 확대에 영향

코스닥에서는 양주체 순매도

외국인은 제약 매수. 기관은 엔터 매수


관세 발언은 강약이 반복되는 상황

증시 반응이 좋지 않으면 일시적 침묵 혹은 유화적 언급

상대국 협상 앞두고 유연함에는 한계

협상력 높여 두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보임

관세가 미국에 실질적인 득이 될지도 불투명

자동차의 연간 수입 규모 약 2800억달러.

관세에 따른 재정 수익 기대가 리스크 압도할 수준 아님

또 미국내 생산은 인건비용 상승에 가격도 부담


트럼프는 미국 경제 구조 변경 의지도 나름 강한 듯

관세 압박으로 다양한 양보를 얻어내려하는 것은 분명

이 과정이 반복되며 한동안 변동성은 불가피

그러나 이 자체도 몇 차례 반복된 사안

4월 2일 근접한 이번주 외국인 이탈 징후는 아직 없음

흐름이 바뀌기 보다 단기 변동성 정도로 판단

최근 수급 개선된 종목들은 지속 주목해 볼만한 시기

매도 후 매수로 전환된 종목들

반등 불구 장기 PBR 밴드 하단에 머문 종목군 주목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0250327175856171_54vAhh.png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추천2
비추천0
신고신고
  • 36
    타밍맥타484803.27 22:36댓글

    자연과환경 어제 장마감 후 종목들 살피다 담고 싶었는데 아쉽네요..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