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반도체 보조금 재협상 추진
기존 보조금 책정사항 재검토
약속된 보조금 연기 가능성도
대만업체 “美 당국서 검토통보”
삼성, 47억달러 보조금 계약후
텍사스 파운드리 공장 짓는 중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법에 따라 미국 내 투자 기업에 대해 지급하기로 했던 보조금에 대해 재협상을 추진, 지급 요건을 손볼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며 보조금 지급 대상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13일(현지시간)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 트럼프 행정부가 이미 지급하기로 한 관련 지출을 연기할 가능성이 있다고도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 보조금 책정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재검토하고 변경한 뒤 일부 거래에 대해서는 재협상할 계획이다. 단 로이터는 변경될 수 있는 범위와 이미 체결된 계약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여부는 명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대만 실리콘 웨이퍼 제조업체 글로벌웨이퍼스의 대변인 레아 펭은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반도체법 프로그램 당국은 현재 모든 직접 자금 지원 계약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및 정책과 일치하지 않는 특정 조건이 있는지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글로벌웨이퍼스는 미 텍사스주와 미주리주에 40억 달러(약 5조7724억 원)를 투자해 웨이퍼 제조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으며, 미 정부는 이 업체에 최고 4억600만 달러를 지급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백악관 내부 논의에 정통한 네 명의 관계자는 백악관이 390억 달러 규모의 보조금 지급 조건에 대해 특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요구한 노조 가입 노동자 고용, 공장 노동자들에 대한 저렴한 자녀 보육 서비스 제공 등 조건이 포함된다고 로이터는 설명했다. 이에 반도체산업협회는 회원사들에 프로그램 개선 방향에 대해 문의하기 시작했다. 협회 관계자는 “상무부 장관 후보자인 하워드 러트닉을 비롯해 트럼프 행정부의 다른 구성원들과 협력해 (반도체법) 프로그램의 요구 사항을 줄이고 칩 기술 분야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공동 목표를 달성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로이터는 특히 소식통을 인용,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은 뒤 중국 등 다른 국가 진출 계획을 발표한 기업들에 대해 백악관이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기업이 보조금 재협상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거론된다. 로이터는 보조금 수혜 기업 중 중국에 투자한 사례로 인텔, TSMC와 함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지목했다.
삼성전자는 미 텍사스주 테일러에 총 370억 달러 이상 투입되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공장을 건설 중이며, 미 상무부에서 이를 지원하는 보조금 47억4500만 달러를 받기로 계약한 바 있다. SK하이닉스는 인디애나주 웨스트라피엣에 38억7000만 달러를 투자해 인공지능(AI) 메모리용 어드밴스드 패키징 생산 기지를 건설하기로 하고, 미 상무부는 여기에 최대 4억5800만 달러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이는 5대 반도체 제조업체 중 보조금 규모로는 가장 작은 편이다. 인텔은 78억6500만 달러, TSMC는 66억 달러, 마이크론은 61억6500만 달러의 보조금 지급 계약을 체결했다. 다만 투자금 대비 보조금 비율을 따지면 삼성전자가 12.7%로 가장 높고 SK하이닉스도 11.8%로 인텔(8.7%), TSMC(10.3%)보다 높다. 마이크론은 투자금 대비 보조금 비율이 12.3%로 삼성전자 다음이다.
- 새글, 댓글, 좋아요 등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