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기기도 관세폭탄 맞나… 초고압 변압기 반덤핑 관세 4월 최종결정 쉽지가 않군요

35
가는새
작성: 2025.02.14 08:09
추천0
비추천1

전력기기도 관세폭탄 맞나… 초고압 변압기 반덤핑 관세 4월 최종결정 쉽지가 않군요



HD현대일렉·효성重·LS일렉 '긴장'
트럼프 1기 때 변압기 60.8% 관세
수익악화 불가피… 정부 지원 우려


LS일렉 올해 텐베거 종목인데 

트럼프발 '관세폭탄' 우려가 전 산업 분야로 퍼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전력기기 업계도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있다. 미국 시장에 수출한 초고압 변압기에 뒤늦게 고율관세가 부과될 경우 큰 타격을 입을 수 있어서다.

트럼프 1기 당시 최대 60% 수준까지 변압기에 고율 반덤핑(덤핑을 막기 위한 보호관세)을 확정했던 만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움직임에 업계는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아울러 불확실한 관세 부과방식과 높은 세율이 경쟁력을 저해할 수 있어 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변압기 반덤핑 관세 4월 최종 결정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력기기 회사가 미국에 수출한 초고압 변압기에 대한 반덤핑 관세율이 오는 4월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이번 관세 부과 대상은 2022년 8월부터 2023년 7월 사이에 수출된 물량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관세율이 5~10% 수준에서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과거 한국산 변압기에 최대 60.8%까지 관세가 부과된 사례가 있어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초고압 변압기는 HD현대일렉트릭, 효성중공업, LS일렉트릭 등 국내 전력기기 회사가 미국 시장에 수출하고 있는 고부가 제품 중 하나다. 인공지능(AI) 산업이 확대되고, 글로벌 빅테크 기업의 데이터센터 투자 등으로 전력 수요 증가세가 지속되면서 사업은 더 확장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고율관세는 기업들엔 큰 악재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 2012년 한국산 변압기에 대해 덤핑(헐값판매) 판정을 내리고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업체별 판매 규모에 따라 부과율은 상이하지만, 이후 11차례에 걸쳐 반덤핑 관세가 부과돼 왔다. 시장이 호황을 맞은 상황에서 관세로 인해 실적이 주춤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 시장은 국내 기업들의 핵심 수출지라는 점에서 관세 동향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변압기 수출비중 중 미국은 전체의 44.8%(수출액 약 18억2361만달러)를 차지해 단일국가 기준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이어 사우디아라비아(8.1%), 중국(7.7%), 베트남(7.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반덤핑 관세는 기업이 통제하기 어려운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며 "특히 과거 수출제품에 대해서도 뒤늦게 관세가 부과되는 방식이라 대응이 쉽지 않다"고 전했다. 이어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국내 전력 기기사가 '역대급' 실적을 써내려 갔지만, 향후 고율관세가 부과된다면 수익성도 하락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차원 지원 필요" 목소리 커져

이 같은 상황이 행정소송 등 개별 기업의 대응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진다.

실제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수출품목 중 초고압 변압기를 포함한 전력 기자재 수출 규모는 약 2조5000억원으로 9위를 기록했지만, 정부의 15대 수출 전략품목에서는 빠져 있어 보호무역 조치 대응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선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업계 관계자는 "전력 기자재가 대미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만 정부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반덤핑 관세가 지속되면 가격경쟁력이 낮아지고, 결국 미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입지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