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반지 한 돈 70만원 시대 오나[치솟는 금값①]

38
차트꾼
작성: 2025.02.08 21:33
추천2
비추천0
7일 금 거래대금 1691억…'역대 최대'
트럼프발 관세·中 금 소비량 증가 영향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5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 모니터에 금 시세가 나타나있다.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국내 금값도 최고가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5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 모니터에 금 시세가 나타나있다.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국내 금값도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전날 KRX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 1g당 가격은 14만1350원으로 마감했다. 전 거래일인 3일(13만8000원) 대비 3350원(2.43%) 올라 최고가를 경신했다. 1년 전인 지난해 2월 5일과 비교하면 8만7050원에서 62.4%나 급등했다. 2025.02.05.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안전자산인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고공행진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 간 2차 무역 갈등이 격화되고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5일 KRX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 1g 당 가격은 4.58%(6470원) 오른 14만7820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4년 3월24일 KRX 금시장이 거래를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가격이다. 1년 전인 지난해 2월 5일과 비교하면 8만7050원에서 69.8%나 급등했다. 다만 6일과 7일 금 현물 가격은 이틀 연속 1.5% 하락하며 숨고르기를 이어갔다.

국내 순금 한 돈(3.75g)을 살 때 가격도 56만6000원(5일 기준)으로 올 들어서만 7% 넘게 상승했다. 실제 시장에서 세공비, 부가세 등을 더하면 한 돈짜리 돌반지 가격은 60만원에 이른다.

국제 금값도 연일 급등했다. 지난 5일 기준 국제 금 가격은 온스당 2906달러로 고점을 기록했다. 원화로 거래되는 국내 금값은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달러화로 거래되는 국제 금값보다 가파르게 움직였다.

이에 따라 국내 금 거래대금은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지난 5일 금 거래 대금은 1088억3600만원으로 집계돼 1000억원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금 거래대금은 다음 날인 6일 1112억8766만원, 7일에는 1691억4812만원으로 금시장이 개설된 이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값이 최고가를 경신하자 금을 구매하려는 투자자들이 급증하면서 지난 6일부터 한국금거래소 홈페이지는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다. 금거래소 홈페이지는 접속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접속까지 길게는 4시간 가까이 대기 시간이 소요됐다.

금 상장지수펀드(ETF)에도 개미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ACE KRX금현물 ETF는 지난 6일 종가 기준 순자산액 8524억원으로 집계됐다.이 ETF는 지난 달 23일 순자산액 7007억원으로 처음 7000억원을 넘어선 뒤 단 6거래일 만에 1517억원이나 증가했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5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 골드바가 진열되어 있다.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국내 금값도 최고가를 갈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5일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종로본점에 골드바가 진열되어 있다.트럼프발 관세 전쟁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국내 금값도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전날 KRX금시장에서 1㎏짜리 금 현물 1g당 가격은 14만1350원으로 마감했다. 전 거래일인 3일(13만8000원) 대비 3350원(2.43%) 올라 최고가를 경신했다. 1년 전인 지난해 2월 5일과 비교하면 8만7050원에서 62.4%나 급등했다. 2025.02.05. jhope@newsis.com
금 강세장은 미국이 중국에 대해 10% 추가 관세 조치를 취하고, 중국이 보복 조치를 발표하면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고조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에 따라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자 자금이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며 금값이 연일 치솟고 있는 것이다.

박세라 신영증권 연구원은 "금 가격은 미국의 무역정책 불확실성과 실질금리 상승 제한으로 현물 수요가 늘며 전고점을 경신했다"며 "선물과 현물의 가격 괴리가 발생하며 현물 시장 투기적 포지션이 확대됐다. 글로벌 관세와 정책 불확실성에 따라 추가 강세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통상 금 가격은 실질 금리, 달러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강달러 고금리 환경 속에서도 금 가격이 오르는 이례적인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트럼프 정책 리스크 외에도 탈세계화 기조, 인도 등 주요 신흥국 중앙은행의 지속적인 금 매입,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중국인들의 금 소비량 증가 등도 금값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김진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중국 가계의 주 투자처였던 부동산 경기 부진이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증시에 대해서도 투자자 신뢰가 회복되지 않는 국면이 이어지자 중국인들의 금 소비량이 계속 증가하게 된 것"이라며 "중국 정부 역시 외환보유고 내 금 보유량을 늘려가고 있다. 미중 전쟁 속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통화가치 하락에 대비하기 위한 행보"라고 해석했다.

관세 전쟁이 이어지며 금값의 추가 상승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올해도 연준의 금리인하, 트럼프의 약달러를 추구하는 여러 정책들이 영향력을 확대하기 시작한다면 금 가격은 추가 상승을 시도할 것"이라며 "금의 변하지 않는 가치는 올해도 그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31
    작두02.09 09:13댓글

    금 많앗는데… 마이올랏다고 다판…
    쩝…

  • 19
    SouL02.09 18:57댓글

    저도.. 금..ㅎㅎㅎ

    좀.. 애증(?) 이 많은데.

    생각해보면.. 무겁고, 신경 쓰이고, 관리하기 버겁고.

    그냥, 코인 사는게 맞아요.!

    금 = 코인

    달라 = 주식

    전, 이렇게 가렵니다.!!!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