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서 추가 유망구조 발견… 최대 51억 배럴 매장”

34
가는새
작성: 2025.02.02 20:07
추천2
비추천0

액트지오, 용역 결과 보고서 제출
정부, 국내외 전문가와 검증 돌입
통과 땐 추정치 최대 191억 배럴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대왕고래 프로젝트)이 진행 중인 울릉분지에 최대 51억7000만 배럴의 가스·석유가 더 매장돼 있을 수 있다는 용역 보고서가 제출돼 정부가 검증 작업에 돌입했다. 검증 절차를 통과하면 동해 가스·석유 탐사자원량(매장 추정치)은 지난해 발표된 최대 140억 배럴에 더해 최대 191억 배럴로 늘어난다.

2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미국의 심해 기술평가 전문기업 액트지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울릉분지 추가 유망성 평가’ 용역 결과 보고서를 지난해 말 한국석유공사에 제출했다. 동해 울릉분지 일대를 추가 분석해 가스·석유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큰 14개 유망구조를 새롭게 발견했다는 게 보고서의 핵심 내용이다. 액트지오는 지난해 6월 정부가 ‘동해 최대 140억 배럴의 석유·가스 매장 가능성’ 발표 시 근거를 제시한 물리 탐사 업체다.

액트지오에 따르면 새로 발견된 14개 유망구조에 매장된 ‘위험도를 고려하지 않은 자원량(unrisked recoverable)’의 총합은 최소 6억8000만 배럴, 최대 51억7000만 배럴이다. 이는 실제 시추 전 물리 탐사, 지질 분석 등을 통해 측정한 ‘탐사자원량’에 해당하는 수치로 가스 1bcf(10억 입방피트)를 원유 17만8000배럴로 환산했을 때의 결과다. 가스는 최소 7000만t에서 최대 4억7000만t, 원유는 최소 1억4000만 배럴에서 최대 13억3000만 배럴이 매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탐사자원량이 가장 많은 유망구조 이름은 ‘마귀상어(Goblin shark)’로, 최대 12억9000만 배럴의 가스·석유가 묻혀 있을 수 있다. 탐사 성공률은 대왕고래의 20%와 비슷한 것으로 전망됐다.

액트지오는 지난해 4월부터 연말까지 석유공사의 용역을 받아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의 추가 유망성 평가를 진행했다. 앞서 대왕고래를 발견한 2023년 유망구조 분석 용역의 후속 작업 성격이었다. 정부는 2023년 분석 결과를 검증한 뒤 지난해 6월 경북 포항 영일만 일대 유망구조 7개에 35억~140억 배럴의 가스·석유가 묻혀 있다고 발표했다. 2023년과 지난해 두 차례 분석 결과의 탐사자원량을 합산하면 동해에는 190억 배럴 이상의 가스·석유가 매장돼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번 보고서에서 제시된 탐사자원량은 지난해 6월 발표 내용과 마찬가지로 실제 시추 없이 탐사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물이다. 향후 추가 검증과 실제 시추를 거치면서 추정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정부와 석유공사는 액트지오의 분석 결과를 국내외 전문가와 함께 신중히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대왕고래도 2023년 12월 탐사 결과 제출 이후 자체 평가, 국내외 자문단 교차 검증 등 후속 절차를 진행하는 데 6개월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같은 해 5월에는 메이저 석유회사 1곳과 비밀준수 계약을 맺고 탐사 데이터 일부를 제공해 추가 검증을 진행하기도 했다.

  • 37
    차트꾼02.02 20:51댓글

    윤통 저래되서 고래 어찌 되려나요?

  • 30
    모모02.03 00:06댓글

    믿을수가 없어서 ㅎㅎ
    액트지오 유령회사. 아닌가요? ㅎ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