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문예원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고성능 시 모델을 내놓은 가운데 설 연휴 동안 미국 증시가
출렁였다. 서학개미(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는 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포착하고 반도체 3배 레버리지 상품과 엔비 디아
를 쓸어 담았다.
1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이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부터 29일까지 3거래일간 '디렉
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티커명 SOXL)를 3억 7847만 달러(약 5500억 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매수 상위 1위를 차지한 SOXL은 'ICE 반도체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따르는 고위험교수익 상품이다. ICE 반도체 지수에는
엔비디아, 브로드컴, AMD 등 미국 증시에 상장한 대형 반도체 종목 30개가 편입됐다.
또 서학개미는 같은 기간 엔비디아 주식을 3억 3274만 달러(약 4800억 원), 엔디비아 일일 수익률을 2배로 따르는 그라나이트세어즈
2X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티커명 NVDL)를 2억 8512만 달러(약 4100억 원) 사들였다. 엔비디아와 NVDL은 각각 순매수 2,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딥시크가 내놓은 시 모델이 미국 빅테크 기업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주가 폭락하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딥시크는 지난달 27일 기존 거대언어모델(LLM)인 '딥시크 V3'을 개선한 시 모델 |RI|을 선보였다.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최신 시 추론
모델인 '01'과 유사한 성능을 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V3 모델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훈련에 쓰인 추정 비용은 557만 6000달
해약 80억 리다. 이는 메타 '라마3' 모델 훈련에 투입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딥시크의 시 모델이 공개된 당일 브로드컴은 17.40%, 엔비디아는 16.970/0 폭락했다. 브로드컴과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대형 시 기술
주가 줄줄이 급락하자 나스닥 지수와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도 각각 3.07%9.150/0 하락 마감했다
- New[하나證 주간추천주]HD현대일렉트릭·삼성에스디에스·JYP Ent[일반]차트꾼1시간전2237
- New트럼프가 비트코인 거품 키웠다...헤지펀드 엘리엇 “붕괴 피할 수 없어”[일반]차트꾼2시간전1037
- New"고맙다 긴 연휴"…유통업계 '함박웃음'[일반]차트꾼2시간전1037
- New"배당株 언제 사고 팔까"…'배당 개선' 이후 전략은[일반]차트꾼2시간전1037
- New트럼프 "반도체·철강도 조만간 관세…협상용 아니다"[일반]차트꾼2시간전0037
- New딥시크에 엔비디아 급락하자…'3배 레버리지' 베팅한 서학개미[일반]초롱초롱3시간전1017
- New"드디어" 아이폰 사랑 20대 환호성…애플페이 카드 골라쓴다[일반]초롱초롱4시간전1117
- New [실적 속보] 애브비(ABBV), EPS 가이던스 높게 발표하며 상승[일반]가는새8시간전0034
- New국내 제약바이오 24년 실적 경신 현황[일반]가는새11시간전1134
- New어제 딥시크 발생 이후, 섹터 수급이 바이오로 들갑습니다[일반]가는새11시간전0134
- New마국 하원의원 투자고수 낸시 팰로시(Nancy Pelosi) 그가 또 투자를 했다 섹터는????[일반]가는새11시간전0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