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에 엔비디아 급락하자…'3배 레버리지' 베팅한 서학개미

17
초롱초롱
작성: 2025.02.01 20:33
추천1
비추천0

(서울=뉴스1) 문예원 기자 =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고성능 시 모델을 내놓은 가운데 설 연휴 동안 미국 증시가

출렁였다. 서학개미(해외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는 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포착하고 반도체 3배 레버리지 상품과 엔비 디아

를 쓸어 담았다.

1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 세이브로(SEIBr이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부터 29일까지 3거래일간 '디렉

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ETF'(티커명 SOXL)를 3억 7847만 달러(약 5500억 원)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매수 상위 1위를 차지한 SOXL은 'ICE 반도체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3배로 따르는 고위험교수익 상품이다. ICE 반도체 지수에는

엔비디아, 브로드컴, AMD 등 미국 증시에 상장한 대형 반도체 종목 30개가 편입됐다.

또 서학개미는 같은 기간 엔비디아 주식을 3억 3274만 달러(약 4800억 원), 엔디비아 일일 수익률을 2배로 따르는 그라나이트세어즈

2X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티커명 NVDL)를 2억 8512만 달러(약 4100억 원) 사들였다. 엔비디아와 NVDL은 각각 순매수 2, 3위에

이름을 올렸다.

딥시크가 내놓은 시 모델이 미국 빅테크 기업을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주가 폭락하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딥시크는 지난달 27일 기존 거대언어모델(LLM)인 '딥시크 V3'을 개선한 시 모델 |RI|을 선보였다. 저비용으로 오픈AI의 최신 시 추론

모델인 '01'과 유사한 성능을 냈다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V3 모델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훈련에 쓰인 추정 비용은 557만 6000달

해약 80억 리다. 이는 메타 '라마3' 모델 훈련에 투입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다.

딥시크의 시 모델이 공개된 당일 브로드컴은 17.40%, 엔비디아는 16.970/0 폭락했다. 브로드컴과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대형 시 기술

주가 줄줄이 급락하자 나스닥 지수와 필라델피아반도체 지수도 각각 3.07%9.150/0 하락 마감했다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