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는 바닥'
▶️ 데이터 포인트 해석 및 투자 전략 : 종목별 전략 차별화
- 유럽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도 기저효과 힘입어 1월부터 성장세 재개될 것으로 판단한다. 큰 폭의 성장은 아니지만, 2024년 연간 유럽 BEV 판매량 -3%에서 올해는 10% 내외의 성장세 보이며 반등할 것으로 판단한다. 양극재 수출 중량 역시 지난 12월, 15개월만에 '+' 전환했고, 리튬 가격은 5개월째 kg당 11불 내외에서 횡보다.
- 지표가 바닥을 찍었으므로 종목별 트레이딩 기회가 있다고 판단한다. 물론, 주요 지표들이 급격한 반등을 보여준다기보다는 소폭 회복 및 횡보 수준이고, 기업들의 실적은 여전히 잔여 재고 조정 및 중국과의 경쟁심화로 명확한 회복 시그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어 공격적으로 매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다만, 종목별로 리스크가 반영된 강도가 다소 달라 선별적으로 전략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시총 80조원 내외에서는 조정 시 매수 전략을 권고한다(현 시총 82조원). 2026년 예상 지배주주 순익은 1.9조원(향후 2년간 매출 연평균 +19% 성장 및 순이익 2025년 흑자 전환, 2026년 +120% 성장 가정)을 전망하며, 최근 2년 평균 P/E 53배 적용 시 도출되는 적정 시총은 약 100조원이다. 상승 여력 30%의 가격을 트레이딩 밴드 하단으로 적용한다면 매수 적정 가격대는 77조원이다. 이를 기계적으로 적용한다면 80조원 수준에서는 매수가 적절하다. 현 시총인 82조원에서 그리 멀지 않은 가격대다. 다만, 이번주 금요일(24일)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제시될 1분기 전망이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매출의 YoY, QoQ 동반 성장 여부 중요), 70조원대의 과매도 국면까지 갈 수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한다.
- 에코프로비엠의 경우, 2026년 예상 순이익에 최근 2년 평균 P/E 70배 적용시 도출되는 적정 시총은 약 12조원이다. 상승 여력 30% 수준을 기대하려면 9조원 초반에서 매수 가능하다. 현 시총 12.7조원이므로 주가 하방 리스크는 셀 메이커 대비 다소 큰 상황이다. 다만, 단기적으로 코스피 이전 상장에 따른 연기금의 선제적인 패시브 수급 유입이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수급에 기반한 상방 요인이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코스피 이전 및 코스피200 편입 등으로 인해 단기 급등할 경우에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가격대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에코프로비엠의 최종 자동차 고객사인 BMW와 포드의 2024년 BEV 판매 증가율이 각각 14%, 20%였고 이들의 2025년 성장률이 작년보다 확대되기 어려운 정책 환경에 있음을 감안하면, 에코프로비엠의 2025년 연간 제품 출하량 역시 20%를 넘기 어렵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데, 현재 시장은 30% 이상의 제품 출하 성장률을 기대하고 있어, 이 또한 부담이다. 2월11일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제시될 연간 가이던스는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수급 플레이 이후에는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 한편, 대주전자재료와 같은 특수 소재군들의 경우, 여전히 시장 개화 초기 단계라는 점에서 다소 공격적인 밸류에이션을 하더라도 리스크가 크지 않다고 판단한다. 과거 하이니켈 양극재의 시장 침투 초기, 한국 셀 메이커들의 유럽 시장 점유율 상승 초기 국면에서 멀티플 리레이팅이 동반되며 주가 상승폭 확대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특수 소재군의 경우 멀티플 확장 논리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지속 매수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 Car : 미국, 중국·러시아산 커넥티드카 수입 및 판매 금지
- Tesla 주가는 한 주간 +8.1% 상승했고,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주가는 상이했다(Rivian +2.6%, Lucid -2.8%). 중국 전기차 기업 Xpeng 주가는 분리형 플라잉카 출시 기대감 힘입어 +15.6% 상승했고, 이외 기업 주가 또한 상승했다(Li Auto +1.6%, Nio +4.6%).
-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러시아산 소프트웨어, 부품을 탑재 차량의 수입과 판매 금지 계획 발표했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각각 ‘27년, ’30년부터 규제 적용 예정이다.
- Rho Motion에 따르면, ‘24년 12월 글로벌 전기차(BEV+PHEV) 판매대수는 190만대(중국 130만대(YoY +37%), 북미 19만대(YoY +9%), 유럽 31만대(YoY +1%))를 기록했으며, ’24년 글로벌 전기차 총 판매대수는 1,700만대(YoY +25%)를 기록했다.
- Tesla의 'Model Y(Juniper)'는 중국에서 예약 주문 5만대를 돌파했다.
- BMW는 ‘24년 BEV 총 판매대수 42.6만대(YoY +13.5%, 판매비중: 17.4%)를 기록하며, 판매 비중 목표(20%) 달성 실패했다. 한편, BMW의 ‘25년 BEV 판매 비중 목표는 25%다. 작년 연간 자동차 판매량 유지 가정할 경우 BEV 판매 비중 25%는 판매 증가율 약 40% 의미한다.
- BYD는 Grab과 최대 5만대 규모의 EV 공급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동남아 6개국에서 서비스 예정이다.
▶️ Cell : 한국 정부, 2차전지 산업 정책 금융 지원 확대
- 배터리 대형주 3사 합산 유니버스(LGES, 삼성SDI, SK이노베이션) 주가는+0.9% 상승했고(삼성SDI +0.0%, LGES +0.6%, SK이노베이션 +3.3%), 코스피 대비 +0.6%p Out-perform했다.
- Trendforce는 배터리 소재 가격 반등에 따라, ‘25년 1분기 배터리 셀 가격 역시 안정화될 것이라 전망했다.
- 한국 정부는 2차전지 기업에 정책 금융 지원(7.9조원), 핵심소재·광물 공급망 안정화 기금 확대(10조원) 등을 담은 지원책을 발표했다.
- 한국과 캐나다 정부는 폐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 공장(완공: ’25년 말-‘26년 초)의 직원 채용 시작했으며, 한국 엔지니 현지 파견해 신규 채용 직원 교육 예정이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Vistra와 1.6GWh 규모의 캘리포니아 ESS 완공 행사를 개최했다.
- Gotion Hightech는 약 13억유로를 투자해 연산 20GWh 규모의 모로코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Material/Equipment : 2025년 리튬 공급 과잉 축소 전망
- 2차전지 소재 합산 유니버스는 한 주간 +4.3% 상승했다. 국내 주요 양극재 기업 주가는 상이했다(포스코퓨처엠 -0.7%, 에코프로비엠 +8.2%, 엘앤에프 +4.4%). 중국 소재 기업 주가는 상승했다(Beijing Easpring +3.6%, Guangzhou Tinci +4.3%, Yunnan Energy +6.8%).
- GM은 Vianode와 인조흑연 음극재 장기 공급 계약(기간: ’27년-‘33년) 체결했으며, 해당 흑연은Ultium Cells의 차세대 배터리 양산에 사용 예정이다.
-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24년 12월 연산 1천톤 규모의 LFP 양극재 파일럿 공장을 준공했다.
- 고려아연의 황산니켈 제조기술이 정부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됐다.
- 사우디 산업광물부 차관은 미래 광물 포럼에서 총 146조원 규모의 광물 투자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 Antaike에 따르면, 글로벌 리튬 공급 과잉은 ‘24년 15만톤에서 ’25년 8만톤으로 줄어들 것이라 전망했다. 한편, Project blue는 ‘25년 예상 리튬 가격을 11,092달러/톤으로 전망했다.
- 광물별 전주 대비 가격 증감률은 리튬(+1.2%), 니켈(+2.8%), 코발트(-3.5%), 망간(+0.9%), 알루미늄(+3.2%), 구리(+1.4%), LiPF6(+0.0%)이며, 전분기 대비 증감률은 리튬(-0.8%), 니켈(-4.7%), 코발트(-5.8%), 망간(-3.1%), 알루미늄(-1.7%), 구리(-3.0%), LiPF6(+7.9%)다.
- 1월 3주 유럽 주요 3국(영국, 독일, 프랑스) 전력 가격은 평균 96.3유로/MWh로 WoW -3.2% 하락했다.
- 1월 전력 가격 평균은 98.6유로/MWh로 MoM +0.1% 상승했다.
- 월요일입니다.[일반]작두01.204330
- 핀란드 아침식사 ㅋㅋㅋ[일반]모모01.202230
- 이번주 성투 합시다 ㅎㅎ[일반]모모01.203230
- 트럼프 "틱톡금지법, 90일 유예 가능성 높다…20일 발표[일반]가는새01.190034
- 젠슨 황의 GPGPU도 20년 걸려 완성했다[일반]가는새01.191134
- '지표는 바닥' 2차전지 핵심[일반]가는새01.191034
- 트럼프 행정명령 100개…어떤 내용 담기나[일반]가는새01.191134
- "트럼프, 취임 100일 안 중국서 시진핑과 회담 원해" WSJ[일반]가는새01.190034
- 尹 체포 방해' 이광우 경호본부장 석방[일반]가는새01.190034
- 법원 폭도에 시장 반응은 어떻게 나올려는지 ..[일반]초롱초롱01.192617
- "상승 모멘텀 풍부" 증권가에서 꼽은 새해 유망주 '세 종목'[일반]차트꾼01.191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