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병원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사와 마스크 착용 규정이 종료된 후 입원 환자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이 25% 급증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검사·마스크 규정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률 변화 그래프. / 사진=JAMA Network Open 제공
미국 하버드 의대 시어도어 R. 팍 교수팀은 오늘(2일)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코로나19 검사와 마스크 정책에 따른 호흡기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감염 및 병원 내 감염을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하버드 의대의 브리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시스템 내 10개 병원은 2023년 5월 검사와 마스크 착용 규정을 종료한 뒤 겨울철 호흡기 바이러스가 급증한 2024년 1월 의료진의 마스크 착용을 다시 의무화했습니다.
연구팀은 2020년 11월 6일~2024년 3월 21일을 오미크론 유행 전 검사·마스크 적용 시기, 오미크론 유행 후 검사·마스크 적용 시기, 검사·마스크 종료 시기, 의료진 마스크 재개 시기 등 4개로 나누고 지역사회와 10개 병원 입원 환자의 코로나19, 인플루엔자,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감염률을 분석했습니다.
이 기간 입원 환자는 64만 1,483명(여성 35만 7,263명.55.7%)이었고, 나이는 평균 61세였습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자는 지역사회 감염이 3,071명이었고 병원 감염이 2,07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분석 결과 오미크론 유행 전 검사·마스크 착용 기간에는 지역사회 감염 대비 병원 감염의 주간 평균 비율이 2.9%에 불과했으나 오미크론 유행 후에는 7.6%로 높아졌고, 검사와 마스크 착용 종료 후에는 15.5%로 치솟았습니다.
그러나 의료 종사자의 마스크 착용이 재개된 지난 1월 이후에는 지역사회 감염 대비 병원 감염의 주간 평균 비율이 8.0%로 다시 감소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는 오미크론 유행 기간에 검사·마스크 착용 종료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이 25% 증가했고, 의료 종사자의 마스크 착용 재개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이 33%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은 이 연구는 검사와 마스크 착용의 효과를 분리하기 어렵고 사례 오분류 가능성이 있는 등 한계가 있지만 검사와 마스크 착용이 병원 내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감소와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병원 내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임원 환자의 입원 기간 증가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며 호흡기 바이러스의 지역사회 감염 발생률이 높은 시기에는 검사와 마스크 착용이 효과적인 입원 환자 보호 조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 지난주 적어드린 종목 상한가 축하합니다[일반]가는새12.021134
- 너무 수상한종목 폭등할까[일반]가는새12.022234
- 아침 장시작전 적어드린 종목 15% 급등 역시 조선[일반]가는새12.020034
- 美 대중 제재 강화에 韓 이차전지 업계 반사이익 기대감↑[일반]차트꾼12.020037
- 센서뷰 상한가 그렇다면 연관종목 지금 1% 상승중[일반]가는새12.021034
- 코로나19 검사·마스크 착용 규정 중단 후 병원 내 호흡기 감염 급증"[일반]가는새12.020034
- 메타 해저케이블 공장 신설…2027년 상반기 준공 목표[일반]가는새12.021134
- 세계 최초 이차전지 조립공정 상용화 성공...테슬라 최대 난제 '열폭주' 게임체인저 종목은?????[일반]가는새12.020034
- 장시작전 8시 30분 적어드린 종목들 대부분 갔군요[일반]가는새12.021134
- 안덕근 "AI 데이터센터 냉각시스템, 새로운 수출 성장엔진" lg전자[일반]가는새12.021134
- 메타, 전 세계 가로지르는 100억 달러 규모 해저 케이블 건설 추진[일반]가는새12.02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