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이 디앤디파마텍의 경구용 비만 치료제 DD02S(GLP-1)를 기술이전 해 간 메쎄라(Metsera)의 노보노디스크, 일라이릴리 등으로 인수합병(M&A) 또는 기술 거래 가능성을 제기했다.
28일 허혜민 키움증권 연구원은 제약바이오 인싸이트 보고서를 통해 “경구 비만 치료제는 피하(SC)주하제형으로 투여 시작 후, 경구제로 유지요법이 가능해 경쟁사의 경구제 성공은 노보와 릴리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특히나 올해 노보의 경구 데이터 성과가 좋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대선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활발한 M&A 및 기술 거래가 예상된다”며 “특히, 비만 분야에서 활발할 것이며 바이킹이 시가총액 85억 달러(8.5bn), 현금 9억3000만 달러($930mn) 보유로 유력 인수합병(M&A) 후보 대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디앤디파마텍·메쎄라가 경구 3중 작용제(GLP/GIP/GCG)의 연내 1상을 진입해, 내년초 결과 발표가 기대된다”며 “바이킹의 인수에 최소 150억 달러(15bn) 이상과 생산 시설 투자 비용 소요되는 만큼 이 가격이 부담스러운 경우 비상장사인 메쎄라의 인수 가능성 역시 매우 높다고 판단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분석은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기업인 바이킹 테라퓨틱스의 지난 주 주가 급등(19%)에서 출발했다. 바이킹은 지난 23일(현지시각)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시장에서 예상한 것 보다 높은 용량(100mg, 경구)에서도 효능·내약성 데이터가 좋을 것이고 언급했다. 또한 4중 작용제(DACRA) 임상 진입, 월간 제형 가능성을 언급해 주가가 급등했다는 평이다.
특히 바이킹의 비만 치료제 VK2735(GLP-1/GIP, 주사제)의 13주 2a상 데이터가 오는 11월3일 비만학회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바이킹이 차세대 제형인 경구용으로 개발하는 비만치료제의 가능성을 엿보였고, 노보와 릴리 포함 여러 빅파마의 M&A 욕구를 자극할 것이라는 게 허혜민 연구원의 설명이다.
<파이낸스스코프 고종민 기자 kjm@finance-scope.com>
본 기사는 투자 참고용으로 이를 근거로 한 투자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당 기사는 파이낸스스코프(http://www.finance-scope.com)가 제공한 것으로 저작권은 파이낸스스코프에 있습니다.
본 기사는 이데일리와 무관하며 이데일리의 논조 및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기사 내용 관련 문의는 파이낸스스코프로 하시기 바랍니다.
- 정재은 관두고[일반]카스테라라10.282212
- 삼전 턴어라운드?[일반]탄e10.282413
- 대주전자재료[일반]릴리에요10.28111
- 아이엘사이언스, 모빌리티 램프 제조업 최초 수직 계열화 "내년 실적 퀀텀 점프"[일반]가는새10.280034
- 와우. 빨강색 ㅎㅎ[일반]모모10.281330
- “디앤디파마텍 경구용 GLP-1 메쎄라, 노보·릴리에 인수 가능성”[일반]가는새10.281034
- 삼천리 "성경식품 인수 검토 중단…인수 의사 없어"[일반]차트꾼10.282038
- 에휴 이눔의 경제...[일반]포스10.282110
- 대만언론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 공급 조건부 승인, 단기 물량부족 때문"[일반]가는새10.282234
- 태웅로지스[일반]마부위침10.28120
- 코스닥, 개인·외인 매수에 상승 출발…클로봇 약세로 증시데뷔[일반]차트꾼10.281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