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공급 부족 재확인
- 최근 변경된 가트너의 AI가속기 추정 및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TSV Capa 계획을 반영해 HBM 모델 업데이트
- 베이스 시나리오에 따르면 HBM 수요는 24년과 25년 각각 119억Gb, 207억Gb, 공급은 106억Gb, 214억Gb
- 수급률은 24년 -10.5%로 심각한 공급 부족이며, 25년은 3.1%로 24년의 쇼티지를 고려하면 여전히 공급 부족으로 추정
- 이전 추정에 비해 GPU 수량은 24년과 25년 각각 22.6%, 26.5% 증가했으며, ASIC 역시 마찬가지로 각각 4.6%, 4.4% 증가
● 늘어나는 수요에 비해 원활하지 않은 공급
- 클라우드 Big4를 포함한 대부분의 데이터센터들은 AI 투자를 지속하면서 AI 가속기 구매 수량을 증가시킬 것이라 언급
- HBM의 주 수요처가 AI 가속기이므로, AI 가속기 수량이 증가하면 HBM 수요 또한 증가
- 반면 HBM 공급은 여전히 제한적
● HBM을 제외한 DRAM의 실질 Capa는 감소
- DRAM 3사는 22년 3분기 이후 감산을 시작한 이래 아직까지 감산 기조 유지
- 당사 추정에 따르면 24년 HBM bit growth는 SK하이닉스가 YoY 318%, 삼성전자가 228%로 모두 23년에 비해 큰 폭 성장
- 반면 이를 제외한 일반 DRAM bit growth는 각각 13%, 15%로 2010년 후 DRAM bit growth CAGR인 10% 후반~20% 초반 수준에 이르지 못함
● 25년 HBM ASP 하락 가능성은 낮음
- 24년과 달리 25년에는 12hi 수량이 증가할 것. 25년 HBM 가격 하락의 가능성이 낮은 이유
- 12hi는 동일한 HBM3e라고 하더라도 사실상 신제품. 통상 신제품은 출시 초기 가격 프리미엄 존재
- HBM3e 12hi 신제품 가격 프리미엄으로 인해 가격 하락이 상쇄돼 전체 HBM ASP는 최소 flat을 유지할 것
● 아직 공급 과잉을 얘기하기는 매우 이른 시점
- 25년 DRAM 내 HBM은 수량 기준 7%, 매출 기준 27% 비중을 차지해 모바일, 서버에 이어 DRAM 내 주력 응용분야가 될 것
- 일반 DRAM에 비해 공급 증가가 제한적이고 가격 안정성이 높은 HBM 비중이 높아질수록 DRAM 매출의 변동성을 줄일 수 있을 것
- 견조한 HBM 수요와 부족한 공급 상황을 고려할 때, 아직 DRAM 다운턴 진입을 말하기는 이른 시점이라 판단
읭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삼성전자 가즈아 가즈아
ㅎㅎㅎ
아 내 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