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만년 3위’ 미국 마이크론, HBM으로 삼성·SK 추월할까 [넘버스 투자생각]

22
검정고무신차단
작성: 2024.06.16 06:11

메모리반도체 시장 만년 3위 마이크론


마이크론은 메모리 업계 ‘빅3’ 중 유일한 미국 회사입니다. PC, 스마트폰, 자동차, 기타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3위 업체고요. 다른 반도체 회사에 비해 회계연도의 시작과 끝이 빨라서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하고 뒤이어 다른 업체들도 비슷한 흐름의 실적을 발표해왔기 때문에 업계 풍향계로 불립니다.


마이크론은 소비자 가전 분야 호황으로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던 1978년에 미국 아이다호주에 설립됐습니다. 1980년대 초까지 가전제품과 PC용 칩을 설계하고 제조했습니다. 1984년에는 뉴욕증시에 입성했고 10년 후에 포춘 500대 기업 안에 들었습니다. 1998년에는 경쟁사인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의 메모리 사업을 인수해 세계 최대 메모리 칩 업체 중 하나로 성장했습니다.


마이크론은 이후 20년 동안 반도체 공급망에 나타난 수많은 변화와 함께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마이크론은 반도체 설계, 생산, 패키징 등 모든 과정을 자체적으로 해냈지만 설계나 생산 등에 전문화된 엔비디아와 대만 TSMC가 선전하면서 해당 기업들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게 됐습니다.


메모리 업황은 반도체 시장 사이클에 따라 크게 출렁거리고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와 감소에 따라 가격이 큰 폭으로 변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특성상 마이크론은 지난해까지 PC와 스마트폰 수요 약화로 고전했습니다. 그 여파로 2023회계연도(2022년 9월~작년 8월)에 주당 4.45달러의 손실을 기록했고요. 지난 5년간 연간 수익 성장률은 10%를 조금 넘는 데 그쳤습니다. 당시 넘버스 투자생각에서도 마이크론 실적과 반도체 바닥론에 대해 다룬 바 있습니다.




마이크론의 2021회계연도1분기~2024회계연도 1분기 EPS. (자료=LSEG, 로이터통신)


아울러 작년 5월에는 미국 정부의 대중 반도체 통제에 대응해 중국 정부가 마이크론 제품 구매 중단을 명령하면서 타격을 입었습니다. 그래서 미중 반도체 패권 갈등의 희생양이 됐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는데요. 당시중국은 마이크론이 자국 네트워크 보안 검사를 통과하지 못했다며 자국 주요 인프라 기업에 마이크론 제품 수입 금지를 명령했습니다.


그러나 지난 5년 동안 마이크론 주가는 양호한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최근 5년간 수익률은 약 280%로 나스닥100지수의 150%를 크게 앞질렀습니다. 마이크론이 기록한 상승분 대부분은 지난해 초 오픈AI의 챗GPT로부터 촉발된 AI 붐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특히 AI 칩에 필수인 HBM에 대한 수요 증가가 마이크론에 호재로 작용하면서 작년과 올해 각각 70%와 50% 넘게 올랐습니다.

👩 반도체 핵심 부품인 HBM, 어떻게 만들까?

1. HBM은 여러 D랩을 수직으로 쌓아 데이터 용량과 처리 속도를 극대화한 메모리 칩입니다. D램에 미세한 구멍을 뚫고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가격도 일반 D램에 비해 100배가 넘습니다.

2. 마이크론,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메모리 기업은 HBM 생산 능력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AI 칩에 대한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 중에서도 마이크론은 HBM3E로 이미 수익을 내고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3. 이 때문인지 기존에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던 월가 전문가들고 마음을 바꿔 호의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BoA는 마이크론을 ‘주니어 사무라이AI’로 선정하면서 목표주가를 120달러에서 144달러로 상향조정했습니다.

추천3
비추천0
신고신고
  • 24
    오쫑아06.16 07:29댓글

    한국 마이크론도 좀 가자

  • 15
    K대장주06.16 07:44댓글

    기사 잘보고 갑니다~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