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 공급망 강화

22
검정고무신차단
작성: 2024.05.17 12:00

정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6GW 생산… 지금보다 70% 늘린다”

세종=이신혜 기자2024. 5. 16. 16:40

타임톡4요약보기음성으로 듣기번역 설정글씨크기 조절하기

산업부,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 발표

한 풍력발전소의 모습./조선DB

이미지 크게 보기


한 풍력발전소의 모습./조선DB

정부가 2030년까지 연간 재생에너지 6GW(기가와트)를 생산할 수 있도록 인프라 구축을 추진한다. 지난해 국내 연평균 재생에너지 보급량(3.5GW) 대비 70% 이상 증가한 규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6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안덕근 산업부 장관 주재로 열린 재생에너지 발전·제조·수요기업들과 정책간담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AD

삼성전자

광고 갤럭시 S24 시리즈 판매

갤럭시 AI 패밀리 동시구매 찬스

구매하기

정부는 ‘탄소 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위한 질서 있고 체계적인 재생에너지 확대’를 목표로 정부 주도로 연평균 재생에너지 생산을 6GW까지 확대한다. 에너지원별로 태양광 4GW, 풍력 2GW를 생산한다는 게 산업부의 구상이다.


태양광을 4GW까지 생산하려면 전남 신안에 들어선 태양광(150㎿ 규모) 발전 단지를 26개 이상 지어야 한다. 정부는 태양광 발전 단지를 전력계통 및 주민 수용성이 양호한 산업단지와 영농지역을 중심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해상풍력은 정부가 입지를 발굴하고, 주민 협의·인허가 지원 등을 지원한다.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R&D도 지원한다. 기존 셀 대비 2배 이상 발전효율을 내는 ‘태양광 탠덤 셀’을 2026년까지 조기 상용화할 방침이다.


기업의 해외 재생에너지 시장 진출 지원도 강화한다. 국내 기업은 최근 4년간 총 143억달러 규모(41건, 20.4GW)의 해외 재생에너지 사업을 수주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해외진출 확대를 위해 진출기업-지원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 정부간 협력을 통한 사업 발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동안 생산량만 중점적으로 보는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을 펴면서 전력계통 및 국민 비용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면서 “재생에너지 시장이 질서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추천0
비추천0
신고신고
    Go to topAdd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