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는 인간을 따라잡을 수 없다.
거꾸로 생각하면 된다.
신이 만든 인간이 신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
차원이 다르다.
a 가 b 를 만들었으면 b 의 차원은 무조건 a 보다 많이 아래다.
나는 글을 쓰는 것을 매우 사랑한다.
내가 써놓은 글, 혹은 하는 말을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읽거나 들으면 깜짝 놀란다.
특히 말이 아주 놀랍다. 글과 너무 다르게, 전혀 내가 한 말같지가 않다.
이어지는 맥락이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아마도 거의 방백의 수준이 아닐까 싶다.
혼자서 글을 쓸 때와 두 사람이 대화를 할 때의 생각의 흐름은 완전히 다르다.
아마도 뉴런이 자극을 받고 작동하는 것은 비선형 반응일 것이다.
카너만의 책은 흥미롭고, 비선형으로 작동하는 인간의 뇌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도 매우 primitive 한 수준이다.
노벨상 수상자의 인간 뇌의 기전의 이해도가 이제 겨우 이 수준인데, 모든 게 논리적으로 짜여진 코드가 인간 뇌를 이해하는 수준은 그보다 3 단계 이상 더 낮을 수밖에 없다.
조선주에 대한 전망을 챗gpt 가 답해놓은 것을 보면서 그런 당연한 생각이 들었다.
인공지능보다 인간이 한참 위다.
혹은 아직 ai 는 멀고도 멀었다.
핵심은 뇌가 동작하는 메커니즘은 자극에 비선형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그걸 인식한 사람도 극히 적은데, 코딩이 가능할 정도로 사람들의 이해도가 높지가 않다.
chatGPT 는 흉내만 낼뿐 인간의 창의적 깊이에 도달하는 게 머나먼 일이라고. 사람들이 창의가 뭔지 잘 몰라서 그렇다.
ai 가 더 발전하려면 인간이 자신의 뇌가 어떻게 생각을 하는지를 더 깊이 이해해야만 한다. 결국 ai 란 인간의 뇌를 카피하는 기계인 것이기 때문.
.
거꾸로 생각하면 된다.
신이 만든 인간이 신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
차원이 다르다.
a 가 b 를 만들었으면 b 의 차원은 무조건 a 보다 많이 아래다.
나는 글을 쓰는 것을 매우 사랑한다.
내가 써놓은 글, 혹은 하는 말을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읽거나 들으면 깜짝 놀란다.
특히 말이 아주 놀랍다. 글과 너무 다르게, 전혀 내가 한 말같지가 않다.
이어지는 맥락이 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다. 아마도 거의 방백의 수준이 아닐까 싶다.
혼자서 글을 쓸 때와 두 사람이 대화를 할 때의 생각의 흐름은 완전히 다르다.
아마도 뉴런이 자극을 받고 작동하는 것은 비선형 반응일 것이다.
카너만의 책은 흥미롭고, 비선형으로 작동하는 인간의 뇌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직도 매우 primitive 한 수준이다.
노벨상 수상자의 인간 뇌의 기전의 이해도가 이제 겨우 이 수준인데, 모든 게 논리적으로 짜여진 코드가 인간 뇌를 이해하는 수준은 그보다 3 단계 이상 더 낮을 수밖에 없다.
조선주에 대한 전망을 챗gpt 가 답해놓은 것을 보면서 그런 당연한 생각이 들었다.
인공지능보다 인간이 한참 위다.
혹은 아직 ai 는 멀고도 멀었다.
핵심은 뇌가 동작하는 메커니즘은 자극에 비선형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그걸 인식한 사람도 극히 적은데, 코딩이 가능할 정도로 사람들의 이해도가 높지가 않다.
chatGPT 는 흉내만 낼뿐 인간의 창의적 깊이에 도달하는 게 머나먼 일이라고. 사람들이 창의가 뭔지 잘 몰라서 그렇다.
ai 가 더 발전하려면 인간이 자신의 뇌가 어떻게 생각을 하는지를 더 깊이 이해해야만 한다. 결국 ai 란 인간의 뇌를 카피하는 기계인 것이기 때문.
.
1
0
신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