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끝나면 코스피 하락? 총선 징크스 또 증시 덮치나

49
차트꾼차단
작성: 2024.04.11 01:21

2000년 이후 6번 중 4번 내리막

- 공약 약발 떨어지며 투심 악영향

- 기업밸류업·공매도 변수 등 주목


2000년 이후 역대 총선에서 증시는 대체로 선거가 끝난 후에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4·10 총선 이후에도 이런 패턴이 반복될지 장담할 수 없다는 관측도 많다. 기업 밸류업 추진,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 공매도 금지 등 다양한 정책이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10일 증권가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열린 총선에서 선거 직전 한 달간 대부분 코스피지수가 올랐다. 올해까지 포함하면 총 일곱 차례 총선 중 다섯 차례 상승했다. 올해도 0.93% 올랐다. 2004년 17대 총선 전에는 최대 7.52% 오르기도 했다. 총선 전 한 달간 코스피지수가 떨어진 건 2000년 16대(-2.07%)와 2012년 19대(-1.18%) 총선 두 번뿐이다. 정치권이 선거 기간 쏟아낸 각종 공약과 청사진에 경기가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선거 이후에는 반대로 코스피지수는 약세를 보였다. 선거일로부터 한 달 뒤까지 코스피지수 흐름을 보면 2000년 이후 총 여섯 차례 중 네 차례 하락했다. 총선 전 최대 상승했던 2004년 17대 총선 때는 선거 이후 하락폭(-16.14%)도 가장 컸다. 다만 2008년 18대(3.93%)와 2020년 21대(3.78%) 때는 총선 이후 코스피지수가 올랐다. 2008년은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증시가 급락한 뒤 반등하던 시기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선거 후 증시가 오른 때는 예외적인 사례로 대부분 하락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거 결과에 따라 실망 매물이 쏟아지고 공약에 대한 기대가 사라지면서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4·10 총선 이후 각 당의 경제 공약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금투세와 상속세 관련 공약은 여야의 입장이 다르다. 국민의힘은 금투세가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이어서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은 약 1조 원의 세수 감소가 우려된다며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는 금투세 폐지가 단기적으로 주식 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지만, 세수 감소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본다. 상속세는 국민의힘은 완화, 민주당은 유지로 맞선다.


오는 6월까지 한시적으로 금지된 공매도가 총선 이후 재개될지 여부도 관심이 쏠린다. 국민의힘은 공약집에 공매도를 언급하지 않았다. 민주당은 불법공매도 모니터링 및 처벌 강화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일각에서는 반도체 바이오 인공지능(AI) 등이 총선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여야 모두 공통적으로 산업 육성 공약에 포함했기 때문이다.

박태우 기자 yain@kookje.co.kr

추천1
비추천0
신고신고
  • 49
    차트꾼04.11 01:21댓글

    .

Go to topAdd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