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국제선 여객은 720만명으로 전월 대비 1% 하락했다. 국내선 여객은 587만명으로 전월 대비 4% 줄었다. 인천공항 기준 지역별 국제 여객 수는 일본이 143만명, 동남아 187만명, 미주 44만명, 구주 30만명, 중국 78만명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여객 수 감소는 운항 일수가 1월보다 적었던 영향이 크고, 하루평균 여객 수는 오히려 증가했다는 것이 양 연구원의 설명이다. 양 연구원에 따르면 국제선은 전월 대비 5% 늘었고, 국내선은 2% 증가했다. 노선별 여객도 하루평균 여객 수는 일본이 전월 대비 8% 늘었고, 중국도 28% 증가하며 강세를 나타냈다. 특히 일본은 전월 대비 운항편수가 감소했음에도, 전월 대비 여객 수가 증가하며 초강세 국면에 접어든 모습이다.
단일 기종 운항 중인 제주항공의 2월 1일~25일 일본 노선 탑승률은 94%로 추정되는데 일본 간선 노선은 100%에 가까운 탑승률 기록했을 것이라 양 연구원은 전했다. 또한, 그동안 소외되던 중국 노선도 춘절 영향으로 강세 전환되었으나, 지속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부연했다. 춘절 종료 후 중국 노선 탑승률은 하락 추세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항공 화물은 2월 발틱항공운임지수는 홍콩-북미 노선이 전월비 11% 하락했지만, 홍콩-유럽은 오히려 전월비 1% 반등하며 계절성을 벗어났다. 이는 일부 홍해 이슈 등 해운 시장 혼란의 영향이 미치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볼 수도 있다고 양 연구원은 설명했다. 또한, 인천공항 화물 물동량은 전월 대비 6% 줄어든 21만톤을 기록했다. 하루 평균 화물 물동량은 전월비 1% 증가해 여전히 견조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