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버블갑니다[일반]ej02.160
0
1
- 이랜시스[일반]박소연02.168
0
0
- 오늘도 홧팅[일반]땡구02.162
0
0
- 코스피 가즈아[일반]무형검02.160
0
0
- 2024-02-16 금요일 키워드 뉴스 ■ #물가 기사 * KDI, 올해 성장률 2.2% 유지…물가 전망 2.6→2.5% * 예상 웃돈 美물가에 S&P500 다시 5,000선 밑으로 * [단독] 尹 ‘OTT 구독료 인하’ 검토..'디지털 물가' 잡기 나서나 * 농축산물값 안정에 300억 투입… 한돈 할인 내달까지 연장[더 들썩이는 물가] * 내달까지 농축수산물 할인지원‥과일·오징어 물가안정 주력 * 해수부, 설 이후에도 수산식품 할인…물가 안정 주력 * 예상보다 강한 미국 물가…5월 금리 인하도 물건너 가나? * [속보]물가보고서 '쇼크'…나스닥 1.8% 급락 * 1년새 21% 오른 서울 아파트 분양가… 물가상승률의 9배 * 美 물가 쇼크에 엔화 환율 ‘심리 저항선’ 150엔선 붕괴 ■ #환율 기사 * [달러·원] 환율 1.4원 내린 1334.0원 마감 * 美물가 쇼크 하루 만에 종료…환율 1330원선 하회 시도[외환브리핑] * 하락 출발하는 원달러 환율[일반]ㄱ.랑02.161
0
0
- ㅎ2[일반]이종택02.1616
0
0
- 오늘도 코스닥 올라가길[일반]인생은한강뷰02.160
0
0
- 코인장 주식장 불장?[일반]vksdankfwf02.162
0
0
- 굿모닝[일반]오키오키오키나와02.161
0
0
- 2월 16일 시황. 금융, 에너지, 테슬라 오르고. 빅테크 내리고 ◎ 해외 증시 예상 하회한 소매판매 수치에 금리 내리며 증시 반등 테슬라 제외한 빅테크 하락, 에너지, 금융 등은 강세 1월 소매판매 예상 -0.2% 보다 낮은 -0.8% 기록 산업생산도 예상 0.2% 증가 하회한 -0.1% 연말 쇼핑 시즌 직후라 감소가 예상되었음 긍정적 측면은 물가 둔화 요인. 부정적 측면은 경기 우려 아트 호건, 원래 1월은 계절적 변수가 많은 달 연말 쇼핑, 날씨 등 변수 등 영향이라 추세 더 봐야 실제 신규실업수당, 주택시장지수 등은 예상 보다 강했음 경기 침체 조심으로 해석할 상황은 아니라고 보는 것 일단 금리 하락, 달러 약세에 증시는 상승 애틀란타 연은 GDP NOW는 3.4%에서 2.9%로 하락 주요 금융사들 금리 전망은 여전히 분분 UBS, 이번 데이터 영향없으나 이 후 수치 모니터링 할 것 옵션 시장에서는 금리 재인상 베팅도 등장 FedWatch 기준 첫 금리인하 예상 시점은 6월로 후퇴 다리오 메시, 금리 오르더라도 작년 고점 못 넘길 것 알파벳이 하락하며 전체 지수 끌어 내린 ChatGPT가 구글 검색에 도전하는 검색엔진 개발 보도 애플은 작년 버핏이 지분 줄였다는 보도에 약세 반면 버핏이 에너지주 비중 늘렸다는 보도에 관련주 강세 JP모건, 디즈니도 52주 신고가 경신 테슬라는 머스크가 지분 20.5% 확보했다는 보도에 강세 작년 5월 13%에서 크게 증가한 것 3억주 스톡옵션 행사시 더해지는 지분으로 보임 보유 주식수 자체는 5월과 동일한 4.1억주 수준 HSBC, Magnitive 7은 IT 버블 때와 달라 당시 주요 기술주 5배 상승, 지금 팬더믹 이 후 4배 현재 P/E 27배로 당시 40배와는 큰 차이 도이체 방크, 반도체 투자 확대로 공급 과잉 가능성 미중 마찰로 두 나라 포함 설비투자 확대 중 미국 10년간 투자 규모 3배, 유럽은 점유 10%에서 20% 목표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4.28 (-0.42%) 국제유가 78.17달러 (+2.0%) 변동성지수 14.12 (-1.81%) 10년물 금리 4.242% MSCI 한국지수 -0.11% 야간선물 +0.53% ◎ 전망과 전략 최근 코스닥 시장이 상대적으로 강함 절대적 가치 보다 상대적 주가 부담을 주목하는 것 즉, 많이 오른 것 보다 덜 오른 종목들 선호 현상 저PBR주들도 추가 상승 유력하나 단기로는 많이 오른 코스닥은 아직 가격 부담이 큰 위치는 아님 ADR 기준으로 보면 과매도에서 조금 벗어난 수준 종목 장세, 순환매 정도는 조금 더 이어질 가능성 향 후 시장 고비는 엔비디아 실적과 PCE 발표 AI주 추가 상승, 진짜 인플레 수치에 반응 클 것으로 보임 다만 큰 흐름으로는 상승, 매물 소화 재상승 가능성에 무게 올해 외국인은 역대 가장 강한 매수 페이스 보이는 중 12개월 선행 P/E 보면 신흥 시장이 미국 절반 수준 경기 침체 없다 보고 매수하는 것으로 보임 이 기조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판단 시황 측면 보다 업종별 수급에 집중해야할 시기 꾸준하게 실적주 특히 턴하는 종목들 관심 집중[일반]뚜호파파02.160
0
0
- 오늘에 관점[일반]AU02.166
0
0


새글, 댓글, 좋아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