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수 교수님 글

5
노는자차단
작성: 2023.01.03 02:28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러시아로부터 원유, 천연가스를 크게 할인해서 다량으로 구입하다가 드디어 사우디로 날아가서 페트로위안을 던지게 된다.

시진핑의 아랍과의 회담은 중요한 사실을 선언함.
70년대 오페크가 결성되고 석유가격이 크게 오르던 시기와 같은 원자재 독립 거래가 시작될 것임.

그동안 모든 원자재는 달러로 거래되면서 미국의 패권과 독점적 금융 이익을 서포트하고 있었는데, 이제는 미국이 실제의 산업도 원자재도 없으면서 소비 초강대국으로 꿀빨던 왕국이 문을 닫게 된다는 것.

그것은 아랍이 유럽과 중국, 인도 사이의 거래에서 무역으로 거대한 이익을 창출하던 것을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시작되면서 유럽이 아시아와 직거래로 무역이익을 독점하게 되는 사건과 거의 같다.

이제 아시아의 산업국가들이 브릭스의 자원국가들과 직접 자국 통화로 거래하면서 더 큰 이익을 가지게 되는 거래시장이 열리는 것임.
미국이 꿀빨던 양털깎기가 불가능해지는 것.
반대로 유럽과 미국은 자원과 에너지에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한다.
유럽과 미국은 손해, 아시아 공업국과 브릭스는 이익

원자재 가격이 오르면 해운 운임과 선가가 더 오르게 된다.
선박은 원자재와 같음.

미국에게 이것을 저지하기 위한 카드는 군사력밖에 없다.
.
예상 질문과 답변

(질문)
1. 졸탄이 Farm to table model이라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원자재 생산국들이 중국 자본으로 petrochemical 제품들을 역내에서 가공해서 팔게되므로 우리나라 같은 원자재-가공-수입 의 삼각무역에서 가공 포지션에 속하는 국가의 마진은 줄어들 수 있는 부분 (브릭스는 이익이나 아시아 공업국은 페트로달러 로부터는 벗어나나 페트로인민화 로 종속)

2. 중국은 중국 자본을 제공하며 러시아 사우디 이란으로부터 원자재를 싸게 확보하였고 원자재 보유국 중 미국체제로 부터 벗어나려는 러시아 사우디 이란은 이득이나, 원자재가 없고 중국처럼 자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국가에는 직접적 이익이 뚜렷하지 않다.

3. 탄소배출저감이 조선의 큰 투자 아이디어 중 하나인데, 석유 원자재 확보에 따르는 인플레이션 저감 이득은 탄소연료확보책이어서 근본적으로는 반대방향

(답변)
1. 동아시아 공업국들은 미국이 양털깎기로 빼먹던만큼을 안 뺏기는 만큼 더 이익이 된다.

2. 근본적으로 중국이 패권을 가져가는 게 아니라 단극체제가 다극체제로 된다.
한국의 원화도 다극체제에서 기축통화 역할을 하게될 것임

3. 재생에너지도 에너지이며 하늘에서 솟아나지않는다.
오히려 효율이 더 낮아지게 되며,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화석에너지가 더욱 더 필요하다.

졸탄 'War and commodity encumbrance'

War encumbers commodities.
A recurring theme in my dispatches this year has been that in a moment when the world is going from unipolar to multipolar, the actions of heads of state are far more important than the actions of central banks. That is because heads of state lead, their actions affect inflation, and central banks merely follow by hiking rates to “clean up”. Central banks will be behind the curve in this game, and if investors read only the speeches of central bankers but not statesmen, they will be even more behind the curve. The multipolar world order is being built not by G7 heads of state but by the “G7 of the East” (the BRICS heads of state), which is a G5 really but because of “BRICSpansion”, I took the liberty to round up.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Russia has a financial agenda to it, and what President Xi and President Putin say about the future of money
– that is, the future they envision – matters for the future of the U.S. dollar and liquidity in the U.S. Treasury market. Their actions are forging something new:
Bretton Woods III is slowly taking shape, and in light of developments to date, my motto for Bretton Woods III – “our commodity, your problem” – remains apt.
President Xi’s visit with Saudi and GCC leaders marks the birth of the petroyuan and a leap in China’s growing encumbrance of OPEC+’s oil and gas reserves:
with the China-GCC Summit, China can claim to have built a “special relationship”
not only with the “+” sign in OPEC+ (Russia), but with Iran and all of OPEC+…
President Xi’s visit was the very first China-Arab States Summit in history, and echoes FDR’s meeting with King Abdul Aziz Ibn Saud on Valentine’s Day 1945 aboard an American cruiser, the USS Quincy. Fixed income investors should care – not just because the invoicing of oil in renminbi will hurt the dollar’s might, but also because commodity encumbrance means more inflation for the West.
Here are the key parts from President Xi’s speech at the China-GCC Summit
: “In the next three to five years, China is ready to work with GCC countries in the following priority areas:
first, setting up a new paradigm of all-dimensional energy cooperation, where China will continue to import large quantities of crude oil on a long-term basis from GCC countries, and purchase more LNG. We will strengthen our cooperation in the upstream sector, engineering services, as well as [downstream] storage,
transportation, and refinery. The Shanghai Petroleum and Natural Gas Exchange platform will be fully utilized for RMB settlement in oil and gas trade, and we could start currency swap cooperation and advance the m-CBDC Bridge project”.
(후략)

(번역)
전쟁은 상품을 거래하기 어렵게 한다.
올해 내가 전한 소식들 중 자주 등장한 주제는 세계가 1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변할 때, 국가 리더의 행동이 중앙은행의 행동보다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리더가 액션을 하면 그 액션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주며, 차례로 중앙은행이 이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에, 중앙은행은 뒤떨어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중앙은행장들의 연설만 읽고 리더들의 의중을 파악하지 않는다면, 중앙은행보다 더 뒤떨어질 것이다. 다극체제의 세계 질서는 G7 수도자들이 아니라 "동방의 G7" (BRICS 수반들) 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실제로 G5 이긴 하지만 "BRICSpansion" 때문에 그냥 반올림 했음.)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특별한 관계에는 재무적 의제가 있고, 시진핑과 푸틴 정권이 돈의 미래에 관해 그려보는 미래가 어떤 것인지가 앞으로의 미국 달러와 미국채 시장의 유동성에 대해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들의 행동은 새로운 Bretton Woods 를 창조하고 있고, 지금까지의 전개를 고려한다면, Bretton Woods I 에 대한 나의 제목 "our commodity, your
problem"은 아직도 적절한 것 같다.
시진핑의 사우디와 GCC (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기구) 지도자들에 대한 방문은 페트로위안의 탄생을 의미한다.
중국과 GCC 정상회담은 OPEC+의 "+"의 러시아 이외에도 이란을 포함한 OPEC+의 모든 국가들과 "특별한 관계"를 쌓아올린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추천1
비추천0
신고신고
  • 0
    커커커01.03 09:04댓글

    ㅈㄹ

Go to topAdd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