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시황. 업종 내에서도 차별화 장세 업종 내 종목별 엇갈리며 혼조세 코스피는 자동차, 금융 강세에 지수 상승 코스닥 지수는 이차전지 약세에 하락 미 증시 영향은 부분적으로 작용 경기 연착륙 기대감은 긍정적 요인 경기선행지수 하락했으나 낙폭은 축소 2022년 3월 이 후 가장 적은 폭 반도체주들이 움직인 점도 긍정적 요인 마이크론테크 2% 가량 오르며

0
노랑차단
작성: 2024.01.24 00:24
마감 시황. 업종 내에서도 차별화 장세

업종 내 종목별 엇갈리며 혼조세
코스피는 자동차, 금융 강세에 지수 상승
코스닥 지수는 이차전지 약세에 하락

미 증시 영향은 부분적으로 작용
경기 연착륙 기대감은 긍정적 요인
경기선행지수 하락했으나 낙폭은 축소
2022년 3월 이 후 가장 적은 폭
반도체주들이 움직인 점도 긍정적 요인
마이크론테크 2% 가량 오르며 22년 1월 이 후 최고
그러나 최근 상승으로 매물 나오며 국내 반도체는 밀림

코스피는 자동차, 금융주 상승하며 지수 견인
미 증시 강세 종목군 흐름 연동된 모습
이차전지는 초반 상승 출발했으나 종목별 매물
엔켐은 상승, 나머지는 매물 나오며 하락
게임, 화장품주 등 선별적 상승
전체적으로는 업종내 종목들 따로 움직이는 모습

외국인은 금융, 철강, 기계, 운수창고 등 매수
선물 매수 전환. 지속성 있을지 흐름 주목
코스닥은 이차전지 매수, 반도체 매도
기관은 코스피 대부분 업종 매수
그 외 전기전자, 철강, 화학도 매수
코스닥 SW, 기계 매수,. 전체적으로는 업종별 특징 약했음

그간 증시 하락 요인 중 하나는 실적 우려도 있었음
대형주 어닝 쇼크 이 후 실적 전망 하향
올해 코스피 영업이익 전망치는 부분 하향
물론 전년 대비는 여전히 약 80조원 증익
다만 실적 추가 하향 여부를 투자자들은 고민
가장 큰 비중인 삼성전자 실적 쇼크 영향
이 부분 확인하고 반영하는 과정 이어진 것
지난주 골드만삭스의 SK하이닉스 전망이 일부 상쇄
또 TSMC의 실적 전망도 하향 우려를 약화시켜줌
우려로 하락한 점 부분 만회하는 계기로
수급 바뀌는지 여부가 반등폭을 결정
통상 연속 하락 후 반등시 2주간 낙폭 30% 가량 회복
그 이상 복원 여부는 외국인 선물, 기관 현물에 달려
아직 둘 다 복원되지는 않았음
오늘 약간의 변화가 추세가 되는지 주목
예탁금도 늘지 않아 차별화 장세 불가피
업종별 시소, 업종 내 종목별 차이 이어질 가능성
바닥 수급 바뀐 종목들, 실적 저평가주들 지속 관심
추천0
비추천0
신고신고
    Go to topAdd app
    새글, 댓글, 좋아요 등
    활동하면 드리고코인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