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수 교수님 글 2024.01.21
ai 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다.
내가 집중해서 지난 7년간 해결하기위해 노력한 것도 인간의 더 나은 판단과 행동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거의 다 행동심리학적 문제로 귀결이 되더라.
시간을 수 년 이상 투입하니 수정하기 어려운 시스템 1상의 오래된 오류도 발견하고 이해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ai 를 이용해서 해결하려는 것도 비슷하다고 본다.
다만 내가 집중하는 문제보다는 더 기본적이고 아래에 있는 문제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지능이 ai 보다는 더 상위에 있기에 인간의 지능을 움직이는 법을 개발하는 것이 더 고차원 문제를 해결한다고 본다.
그러나 데스크탑 퍼블리싱을 도입한 후 책의 출간이 크게 증가한 것처럼 인간이 ai 를 도구로 쓰면 인간의 작업들이 큰 도움을 받고 효율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
https://youtu.be/tbzNPkRkR3o?si=84GWRVkb1JXrYXEE
ai 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았다.
내가 집중해서 지난 7년간 해결하기위해 노력한 것도 인간의 더 나은 판단과 행동을 찾아내는 방법이다.
거의 다 행동심리학적 문제로 귀결이 되더라.
시간을 수 년 이상 투입하니 수정하기 어려운 시스템 1상의 오래된 오류도 발견하고 이해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사람들이 ai 를 이용해서 해결하려는 것도 비슷하다고 본다.
다만 내가 집중하는 문제보다는 더 기본적이고 아래에 있는 문제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지능이 ai 보다는 더 상위에 있기에 인간의 지능을 움직이는 법을 개발하는 것이 더 고차원 문제를 해결한다고 본다.
그러나 데스크탑 퍼블리싱을 도입한 후 책의 출간이 크게 증가한 것처럼 인간이 ai 를 도구로 쓰면 인간의 작업들이 큰 도움을 받고 효율이 크게 증가할 것이다.
.
https://youtu.be/tbzNPkRkR3o?si=84GWRVkb1JXrYXEE
0
0
신고 



^^